
경기도교육청이 '5G 국가망' 기반 근무 환경을 구축했다.
도교육청은 언제, 어디서든 근무할 수 있는 스마트워크 체제를 전국 교육행정기관 중 처음 도입한다고 21일 밝혔다.
도교육청 광교 신청사에 구축한 '스마트워크'는 좌석 자율 선택, 5G 모바일 근무 환경, 화상회의 보고 등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업무를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근무 시스템이다.
직원들이 키오스크를 이용해 좌석을 선택하면, 선택 좌석에 자동으로 전자 명패가 생성되고 전화번호도 연동된다.
또한 명패를 프린트 기계에 인증해야 문서가 출력되는 형식인 '클라우드 프린트'는 종이 절약뿐만 아니라 문서 정보 유출도 방지할 수 있다.
도교육청은 이러한 스마트워크를 가능케 하는 통신망인 5G 국가망을 구축하고 있다.
5G 국가망 구축은 5G 기술을 국가기관에 적용해 기존의 유선망 기반 PC 접속환경을 무선망 기반으로 개선하는 것으로, 무선망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공간 제약 없이 업무를 할 수 있다.
우선 7∼8월 시범 운영 기간을 거친 후 9월 이후 전 부서에서 활용할 예정이다.
이날 스마트워크를 경험한 한 직원은 “좌석 자율 선택, 화상 보고가 가능해 출퇴근 피로가 감소해 업무 집중도가 높아졌다”며 “학교 현장 지원 시 더 효율적으로 시간을 사용하게 됐다”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조규문 운영지원과장은 “경기도는 학교별·지역별 특색이 달라 현장을 역동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직원들의 유연한 근무 방식이 필요하다”며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새로운 근무 방식으로 경기 교육정책이 학교 현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이보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