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청년 취업자 44만 6000명, 졸업했지만 정규직보단 '알바' 선호

아르바이트로 생계유지 '프리터족' 多
4명 중 3명 "계속 그대로 일하고 싶다"

 

청년층(15∼29세) 취업자 44만 6000명은 학교를 졸업하고도 주 36시간 미만 ‘파트타임’ 근로자로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지난 5월 청년 취업자 400만 5000명 중 주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104만 3000명(26.0%)이었다. 이 중 절반에 가까운 47%(48만 9000명)은 학업을 마친 후에도 풀타임으로 일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 36시간 미만 청년 취업자 중 44만 6000명은 ‘졸업’한 상태였고 나머지 3만 8000명은 ‘중퇴’, 5000명은 ‘수료’였다.

 

그러나 학업을 마친 뒤 파트 타임으로 일하는 청년 취업자들 중 더 긴 시간 일하고자 하는 비중은 낮았다. 졸업한 주 36시간 미만 청년 취업자 가운데 74.5%(33만 3000명)는 ‘계속 그대로 일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이어가는 현실에 만족하는 ‘프리터족’(free+아르바이터)이 적지 않다는 해석이다.

 

다만 주 4일 근무 등 단시간 근무를 도입한 기업에 취업했거나 프리랜서로 일하는 청년 등도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더 많은 시간 일하기를 원했다고 응답한 주 36시간 미만 청년 취업자는 25.5%(11만 4000명)에 그쳤다.

 

구체적으로 ‘더 많이 일할 수 있는 일로 바꾸고 싶다’ 12.4%(5만 5000명), ‘시간을 늘리고 싶다’ 9.1%(4만 1000명), ‘현재보다 다른 일도 하고 싶다’ 4.0%(1만 8000명) 등이다.

 

추가 취업을 희망한 이들 가운데 실제로 추가 취업이 가능했던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는 9만 6000명이다. 이들은 더 길게 일할 수 있었지만 선택에 의해 그렇게 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청년층 취업자의 숫자는 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줄어들고 있다. 지난 5월 기준 청년층 인구는 1년 전보다 17만 9000명, 청년층 취업자는 9만 9000명 줄었다. 청년층 고용률은 47.6%였다. 이는 1982년 7월 통계 작성 이래 5월 기준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 경기신문 = 백성진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