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층(15∼29세) 취업자 44만 6000명은 학교를 졸업하고도 주 36시간 미만 ‘파트타임’ 근로자로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지난 5월 청년 취업자 400만 5000명 중 주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104만 3000명(26.0%)이었다. 이 중 절반에 가까운 47%(48만 9000명)은 학업을 마친 후에도 풀타임으로 일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 36시간 미만 청년 취업자 중 44만 6000명은 ‘졸업’한 상태였고 나머지 3만 8000명은 ‘중퇴’, 5000명은 ‘수료’였다.
그러나 학업을 마친 뒤 파트 타임으로 일하는 청년 취업자들 중 더 긴 시간 일하고자 하는 비중은 낮았다. 졸업한 주 36시간 미만 청년 취업자 가운데 74.5%(33만 3000명)는 ‘계속 그대로 일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이어가는 현실에 만족하는 ‘프리터족’(free+아르바이터)이 적지 않다는 해석이다.
다만 주 4일 근무 등 단시간 근무를 도입한 기업에 취업했거나 프리랜서로 일하는 청년 등도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더 많은 시간 일하기를 원했다고 응답한 주 36시간 미만 청년 취업자는 25.5%(11만 4000명)에 그쳤다.
구체적으로 ‘더 많이 일할 수 있는 일로 바꾸고 싶다’ 12.4%(5만 5000명), ‘시간을 늘리고 싶다’ 9.1%(4만 1000명), ‘현재보다 다른 일도 하고 싶다’ 4.0%(1만 8000명) 등이다.
추가 취업을 희망한 이들 가운데 실제로 추가 취업이 가능했던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는 9만 6000명이다. 이들은 더 길게 일할 수 있었지만 선택에 의해 그렇게 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청년층 취업자의 숫자는 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줄어들고 있다. 지난 5월 기준 청년층 인구는 1년 전보다 17만 9000명, 청년층 취업자는 9만 9000명 줄었다. 청년층 고용률은 47.6%였다. 이는 1982년 7월 통계 작성 이래 5월 기준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 경기신문 = 백성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