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옹진군 굴업도와 덕적도의 바닷모래 채취 허가에 앞서 해안·해저지형 변화에 대한 조사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인천녹색연합은 6일 성명서를 통해 “인천경기만(灣) 곳곳의 해안선이 무너져 내리고 있다”며 “1980년대 후반부터 지금까지 3억㎥가 넘는 바닷모래를 인천 앞바다에서 퍼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바닷모래 채취 사업은 사전·사후조사를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종합적인 조사와 분석이 진행된 바 없다”며 “개발사업의 요식행위가 아닌 해안침식의 근본적인 조사연구와 중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인천시는 지난 3월 굴업·덕적 해역 7개 광구를 바다골재채취 예정지로 새로 지정했고, 향후 5년간 2968만 1000㎥의 모래와 자갈을 퍼내기 위한 행정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옹진군과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은 해역이용영향평가 협의 중이다. 협의가 끝나고 옹진군이 허가해야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연도별 채취 예정물량은 ▲1차년 480만 5000㎥ ▲2차년 595만㎥ ▲3차년 672만㎥ ▲4차년 629만 6000㎥ ▲5차년 590만㎥다.
인천 앞바다는 항로 준설, 해수면 상승, 바닷모래 채취 등으로 해안침식을 겪고 있다.
대이작도 작은풀안과 큰풀안해변을 비롯해 자월면과 덕적면 해변 등에서 잇따라 모래유실이 발생 중이다.
인천녹색연합은 “막대한 점사용료를 쌈짓돈처럼 사용하는 사이 해안은 무너져 내렸다”며 “돈 몇 푼에 우리의 미래인 바다와 섬을 잃어버릴 수 있다. 제대로 된 조사를 시작하길 촉구한다”고 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민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