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13일 사흘째 공전되고 있는 임시국회 정상화 문제를 놓고 각기 다른 논리로 옥신각신하며 입씨름 공방을 계속했다.
한나라당은 김덕룡 원내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열린우리당이 국회 상임위를 단독 소집한 것은 수에 의한 힘의 정치를 구사하겠다는 것으로 원천무효”라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그러면서 "열린우리당이 임시국회를 일방적으로 소집했지만 의사일정이 합의된 건 없다"면서 "일방적으로 소집된 상임위원회는 무효"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또 "한나라당 의원들이 점거 중인 법사위의 회의장소를 바꾸겠다는 건 더 더욱 안된다"며 "열린우리당은 협박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남경필 원내 수석부대표도 "4대법안의 처리가 국회 정상화의 시금석이 될 것"이라며 "열린우리당은 오만한 태도를 버리고 수에 의한 단독강행 처리방침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열린우리당 이부영 의장은 “이날부터 국회 예결특위 계소조정소위와 상임위 활동에 나설 것”이라며 한나라당을 압박했다.
이 의장은 "이번 주부턴 국회가 정상화돼 야당이 참여한 가운데 새해 예산안 심의과 이라크 파병 연장동의안이 우선 처리돼야 한다"며 한나라당의 동참을 독려했다.
또 천정배 원내대표는 "책임있는 여당이자 국회를 이끄는 다수당으로서 더 이상 법사위 점거 등 한나라당의 의사 방해와 지연전술을 방치할 수 없다"며 "예산안과 이라크 파병 연장 동의안을 조속히 처리하겠다"고 거들었다.
천 대표는 그러면서 "현재 국회엔 800여건의 민생개혁법안 등이 산적해 있다"며 "학생이 학교 가는데 이유가 없는 것 처럼 조건없이 국회를 정상화해 싸우더라도 국회 안에서 싸우자"고 역설했다.
한편 그동안 임시국회 소집을 강력 반대해 온 민주노동당은 “개혁법안 처리를 앞두고 있는 교육, 법사, 행자, 문광위 등의 상임위엔 적극 참여하는 등 선별적으로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고 심상정 수석 부대표가 밝혔다.
심 부대표는 기자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정치 공방 차원에서 문만 열어두는 상임위나 민생 악법을 졸속 처리할 상임위엔 참여치 않겠다”며 “국보법 폐지와 사립학교법 개정, 과거사 진상규명 등 개혁 법안에 대해서만큼은 연내에 처리될 수 있도록 협조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