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9월까지 전국 주택 착공·인허가·준공 물량이 동시에 감소했다. 정부가 지난달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지만, 공급난 우려가 여전히 남아있는 모습이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9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1∼9월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25만 5871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32.7% 감소했다. 수도권은 10만 2095가구로 22.6% 줄었고, 지방에서는 15만 3776가구로 38.1% 감소했다.
아파트 인허가가 21만 9858가구로 29.6%, 아파트 외 주택 인허가는 3만 6013가구로 47.0% 각각 줄었다. 특히 9월 한 달간 서울 아파트 인허가 물량은 140가구로,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86.4% 급감한 규모다.
같은 기간 착공 물량도 12만 5862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7.2% 줄었다. 수도권 착공은 6만 250가구로 59.6%, 지방은 6만 5612가구로 54.7% 감소했다.
전국 아파트 착공은 9만 5226가구로 58.1%, 아파트 외 주택 착공은 3만 636가구로 54.0% 줄었다. 또 1~9월 전국에서 준공된 주택은 25만 1417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12.5% 감소했다.
수도권은 13만 4375가구로 14.3%, 지방은 11만 7042가구로 10.4% 감소했다. 수도권의 경우 2019년 1∼9월 준공 물량이 21만 2000가구 수준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4년 만에 약 8만 가구 급감했다.
전국의 주택 착공·인허가·준공 물량이 동시에 급감하면서 오는 2025년에는 공급 부족으로 전셋값이 오르고 이에 따라 매매가격까지 불안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정부가 더 적극적인 공급 대책을 내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집값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은 다양하기 때문에 2~3년 이후 벌어질 공급난의 결과가 주거의 질 악화에 그칠지 집값 급등으로 이어질지는 단언하기 어렵다"면서도 "정부는 '대출 규제' 같은 미시적 대응이 아닌 공적 기능을 상실한 그린벨트까지 활용하는 방안 등 더 적극적인 공급 대책을 마련할 때"라고 지적했다.
[ 경기신문 = 백성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