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은 22일 `4자회담' 결과에 대한 의미를 평가하고, 쟁점법안에 대해 합의처리 원칙 아래에서 연내처리를 이끌어내기 위해 당력을 집중키로 했다.
우리당은 이날 오전 확대간부회의와 의원총회를 차례로 열어 4자회담의 협상결과에 대해 논의하는 등 추인 절차를 밟은 뒤 4대 입법과 `뉴딜 3법' 등 쟁점법안에 대한 세부 협상 전략을 모색했다.
이부영 의장과 천정배 원내대표 등 당지도부는 쟁점법안의 연내처리를 위해 상임위 활동에 최선을 다해줄 것을 의원들에게 주문하는 한편, 국가보안법 등 4대입법에 대한 `합의처리' 원칙 합의에 반발하는 강경파 의원들을 설득하는 데 애를 썼다.
특히 우리당 지도부는 `4대 법안'중 가능한 법안부터 연내 합의처리를 추진한다는 방침을 시사해 23일부터 재개될 `4자 회담'과 관련해 주목을 끌었다.
이 의장은 이날 오전 MBC라디오 시사프로그램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4개 법안이 모두 다 (연내에) 합의되고 처리될 거라고 보진 않는다"며 "이렇게까지 여야대표가 4개 개혁 입법안을 놓고 얘기했기 때문에 다만 2개 내지 3개는 해야 한다"고 말해 여야간 합의 가능한 개혁법안을 우선 처리하는 데 주력할 것임을 밝혔다.
이 의장은 또 4대 법안 표결처리 가능성에 대해 "다른 3개 법안은 쟁점들이 거의 다 나와있어 정치적 절충이 가능하리라고 보지만, 국가보안법은 조금 다르다고 본다"며 "우리가 갖고 있는 당론인 폐지안과 한나라당이 갖고 있는 일부 개정론 사이에 간극이 너무 커서 서로 깊은 신뢰를 갖고 논의해야 한다"고 말해 국보법은 표결처리를 강행할 의사가 없음을 시사했다.
한편 이 의장과 천 원내대표는 이날 의총에서 4자회담 성과를 나름대로 부각시키면서도 합의처리 부분에 대한 당내 반발 기류를 의식한 듯 합의의 불가피성을 토로하며 서로 "내 탓이 크다"고 자책해 눈길을 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