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6 (목)

  • 맑음동두천 29.1℃
  • 구름많음강릉 24.4℃
  • 구름조금서울 29.4℃
  • 구름많음대전 27.8℃
  • 흐림대구 27.2℃
  • 흐림울산 22.9℃
  • 흐림광주 24.9℃
  • 흐림부산 22.4℃
  • 구름많음고창 25.6℃
  • 제주 21.3℃
  • 맑음강화 26.1℃
  • 구름많음보은 27.2℃
  • 구름많음금산 26.7℃
  • 흐림강진군 23.1℃
  • 흐림경주시 27.4℃
  • 흐림거제 23.2℃
기상청 제공

與뉴시티특위, 특별법 발의 후 잠잠…애먼 김동연 때리기

하남·고양 등 서울편입 희망 지자체 논의 無
김기현 사퇴 후 사실상 동력 잃었다는 평가도
‘메가시티’ 말 바꾼 김 지사에 “국토 갈라치기”

 

국민의힘 뉴시티프로젝트 특별위원회(뉴시티특위)가 지난해 김포·구리시에 대한 서울편입 특별법 발의 후 별다른 활동을 보이지 않으면서 ‘총선용 정책’을 내놨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8일 경기신문의 취재를 종합하면 뉴시티특위는 지난해 12월 19일 김포·구리 서울편입 특별법 발의 후 하남·고양 등 서울편입 관련 논의가 단 1차례도 없었으며, 추후 일정도 나오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뉴시티특위 고위 관계자는 경기신문과 통화에서 “아직은 (특위 재가동) 움직임이 없다.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와서 다시 가동해야 하는데 구리시에 대한 논의가 마지막이었다”고 밝혔다.

 

뉴시티특위는 지난해 11월 6일 발족돼 김포의 서울편입을 시작으로 경기도 지자체를 서울로 편입하는 메가시티 서울 추진에 속도를 내왔으나 현재는 흐지부지해진 상태다.

 

지난해 10월 30일 ‘김포시 서울편입론’을 처음 제기하고 주도해 온 김기현 당시 대표가 약 1개월 반 만에 대표직을 내려놓으며 사실상 동력을 잃은 것으로 보인다.

 

애초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참패와 인요한 혁신위원회와의 갈등으로 리더십이 도마에 오른 김 대표가 공천 지휘권 확보를 위한 ‘국면 전환용’ 이슈 던지기에 그쳤다는 것이다.

 

다만 제22대 총선에서 의제로 자리 잡은 만큼 한 위원장이 수도권 표심을 위해 명목상 특위 활동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특위 활동은 이미 정치권 안팎으로 ‘김기현 정책’으로 인식된 상황에서 김 전 대표 체제만큼의 추진력을 확보하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지난해 말 비대위 체제 전환 후 국민의힘 내부에선 뉴시티특위, 저출산·미래먹거리 등을 중심으로 선거대책위원회 운영 방안이 논의됐지만, 특별법 발의 이후 하남·고양 등 서울편입 추진을 위한 회의는 없었다.

 

그러던 중 김기윤 특위 위원(하남감일·위례 서울편입추진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동연 경기도지사를 향해 “구리, 김포, 하남의 60%가 넘는 시민이 사기를 당해 서울편입을 찬성하고 있다고 생각하냐”고 공개 질의했다.

 

김 지사는 김 전 대표의 ‘김포시 서울편입’ 추진 발표 후 경기도 인접 도시를 서울로 편입하는 메가시티 구상을 ‘대국민 사기극’, ‘선거용 정치쇼’라고 지적해 왔다.

 

김 위원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대한민국 5극 3특 체제 초광역 메가시티 발전’ 대선 공약과 최종윤 의원의 ‘하남시 서울편입은 선거용·정치쇼가 아니다’라는 발언을 근거로 “김 지사는 같은 당 소속인 이 대표와 최 의원의 입장에 공감하고 있나”라고 반문했다.

 

또 김 지사가 지난 2022년 경기남부와 충남의 경제 연합체 구상인 ‘베이밸리 메가시티’에 대해 ‘번영의 길’이라고 했지만 메가시티 서울 구상은 ‘세계적 조롱거리’, ‘국토 갈라치기’라고 지적한 것에 대해서도 “오히려 김 지사가 ‘국토 갈라치기’를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마치 하남 발전을 위해 야당 도지사를 때리는 전형적인 정치 공세로써 (특위 활동이 잠잠하니) 본인 인지도를 높이려는 것에 불과해 보인다”고 진단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