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휴일인 26일 오후 국회 귀빈식당에서 `4인 대표회담'을 열어 `4대 법안'과 `한국형 뉴딜' 관련법 등 쟁점법안에 대한 일괄타결을 시도하며 막판 절충을 벌였으나, 의견 접근을 이루지 못한채 진통을 거듭했다.
열린우리당 이부영 의장과 천정배 원내대표,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와 김덕룡 원내대표가 참여한 가운데 오후 3시께 열린 `4인회담'은 1시간 10분만에 아무 성과없이 끝났으며, 27일 오전으로 예정됐던 마지막 회담도 일단 취소됐다.
회담 직후 우리당 천정배 원내대표는 기자간담회를 갖고 "며칠간의 협상 과정에서 아무런 진전이 없었고, 회담을 계속할 필요성을 못 느낀다"면서 "박근혜 대표의 입장에 변화가 없고, 내일 오전 10시에 시작하기로 했던 회담은 취소했고, 각 당의 사정을 봐서 서로 연락을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박근혜 대표도 기자들과 만나 "4개법안 모두 중차대한 법이며 어느 한 법을 잘라 나눠서 얘기할 수는 없다"면서 "각당이 내부의견을 조율해 내일 오전 원내대표간 전화연락을 취해 다시 만나기로 했다"고 밝혔다.
`4인 회담'의 활동 시한을 불과 하루 앞둔 가운데, 여야가 국가보안법, 과거사법, 언론개혁법중 신문관계법, 사립학교법 개정안 등 4대 법안과 기금관리기본법,민간투자법, 국민연금법 등 뉴딜 관련법 등 핵심 법안들의 주요 쟁점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한채 평행선을 달리고 있어 타결 전망이 매우 불투명한 상황이다.
여야 지도부는 이날까지 진행된 `4인 회담' 결과를 27일 오전 열릴 의원총회 등에 보고한뒤 마지막 일괄 타결을 시도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어서 양당의 당내 의견조율 결과가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보법의 경우, 여야가 각각 폐지후 형법보완론과 개정론으로 팽팽히 맞서고 있는 가운데 한나라당은 법안 명칭을 `국가안전보장법'으로 바꾸는 대체입법안을 유력한 대안중 하나로 마련해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여당이 대체입법쪽으로 당론을 전환할 경우 타결이 이뤄질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한나라당 김덕룡 원내대표는 "국가보안법의 경우 우리는 (입장을)정한 것이고, 솔직히 저쪽에서 내부정리를 못한 것 아니냐"고 말해 여당내 이견 조율을 촉구했다.
협상 전망과 관련, 우리당 천정배 원내대표는 "합의를 이루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했으나, 타협 가능성이 엷어져 있다"며 "이 상황이 내일까지 진행된다면 이제는 합의를 통한 법안 처리를 포기할 수밖에 없고, 다음 길은 국회법에 따른 정상적 국회 운영을 추구할 수밖에 없다"며 회담 결렬시 강행처리 불가피론을 폈다.
천 원내대표는 그러나 "우리당은 대화의 문호를 닫지 않을 것이며, 언제든지 대화와 토론, 합리적 타협의 문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열어놓겠다"며 여지를 남겼다.
한나라당 김 원내대표는 "며칠동안 심도있는 논의를 계속해서 충분히 상대의 의도와 뜻을 파악했고, 이제는 핵심쟁점이 부각돼 선택의 문제가 남아있는 상황"이라며 "오늘은 더 진전이 없을 것 같아 서로 내부토론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회담을)마쳤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