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년 새 대기업 계열 건설사의 채무보증 규모가 23조 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흥건설의 채무보증 증가율은 441%로, 국내 대기업 계열 건설사 중 가장 높았다.
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81개 대기업집단 중 2021∼2023년 건설 계열사를 두고 공사 시행을 위해 발주처와 입주예정자 등에 채무보증을 제공한 31개 그룹 106곳을 조사한 결과, 채무보증이 늘어난 건설사는 38곳으로 집계됐다. 변동이 없는 곳은 12곳, 채무보증이 줄어든 곳은 56곳이었다.
조사 대상 대기업 계열 건설사의 채무보증액은 2년 새 23조 8416억 원(12.1%) 증가했다.
건설사의 채무보증이 늘어난 건 수주 물량 확대와 신규 사업 증가로 해석할 수 있지만, 부동산 경기 침체로 사업이 지연될 경우 부실이 보증 제공자에게 전이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채무보증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중흥건설이다. 2021년 말 2566억 원에서 2023년 말 1조 3870억 원으로 440.5% 늘었다. 같은 그룹 건설사인 중흥토건 채무보증은 8340억 원에서 3조 6794억 원으로 341.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송도랜드마크시티의 채무보증은 1263억 원에서 5031억 원으로 298.4% 늘었고, 금호건설은 8045억 원에서 3조1384억 원으로 290.1% 늘었다.
이어 삼환기업(273.8%), 반도건설(242.8%), 태길종합건설(241.5%), SK디앤디(191.1%), KT&G(175.0%), 동아건설산업(132.6%), SM하이플러스(118.5%), 롯데건설(74.7%), 한화(69.8%), 현대건설(52.7%), 두산에너빌리티(45.7%), 태영건설(39.2%), GS건설(37.7%), SK에코플랜트(35.7%) 등의 순으로 채무보증 증가 폭이 컸다.
반면 같은 기간 채무보증 규모가 가장 많이 감소한 곳(2023년 말 기준 채무보증이 없는 기업은 제외)은 동원산업으로, 2021년 말 1조 7090억 원에서 2023년 말 1050억 원으로 93.9% 급감했다.
대방산업개발의 채무보증은 1조 4019억 원에서 1978억 원으로 85.9% 감소했고, 세종이앤지는 5126억 원에서 1200억 원으로 76.6% 줄었다.
이어 대방건설(-71.6%), 대우에스티(-45.7%), 호반산업(-40.3%), 호반프라퍼티(-38.7%), 새솔건설(-37.1%), 대우건설(-35.3%), SM스틸(-31.3%), SM상선(-29.0%), HDC현대산업개발(-28.4%), 신세계건설(-22.6%), 삼성물산(-19.2%) 등의 순이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