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기업계가 금융기관의 상생 노력을 평가하는 '중소기업 상생금융지수' 도입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이는 대기업·중견기업 등을 평가하는 '동반성장지수' 모델을 금융기관에도 적용하는 방안이다.
이런 가운데 중소기업중앙회와 중소벤처기업정책학회(중소벤처학회)는 오는 18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중소기업 상생금융지수 도입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 과정에서 은행권의 반발이 예상된다. 실제 중기중앙회가 금융위원회 고위 관계자를 토론회에 초청해 인사말을 부탁했지만 거절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소기업중앙회와 중소벤처학회가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 기업의 절반 가량은 상생금융지수 도입 시 은행의 문턱이 낮아지는 등 중소기업 금융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은행권이 최근 거둔 역대 최대 이자수익에 대해서는 '경제활성화 및 기업지원에 사용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혹평이 나왔다.
특히 이자수익이 '은행 임직원 성과급 지급에 사용되었을 것'이라고 답변한 비율은 80.3%로 높았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중소기업들은 '경제위기에서 은행의 역할'로 '경제활성화 및 기업지원'을 가장 중요하게 꼽았지만, '은행이 추구하는 최우선 가치'로는 '은행의 이익창출'을 가장 많이 꼽았다.
또한, 중소기업 상생금융 인지도는 64.3%로 낮았고, 이용률은 12.3%에 불과했다. 이용하지 못한 이유로는 '일반 대출 대비 장점 없음'과 '까다로운 자격요건'이 꼽혔다.
이에 대해 이민경 중기중앙회 정책총괄실장은 "중소기업이 체감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상생금융제도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민경 중기중앙회 정책총괄실장은 "중소기업의 상생금융 이용률이 12.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중소기업이 체감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상생금융제도 도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오는 18일 열릴 '중소기업 상생금융지수' 도입 토론회에선 임채운 교수(서강대)가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한 상생금융의 역할', 노용환 교수(서울여대)가 '상생금융지수 도입 및 운영방안'을 주제로 각각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지는 종합토론에서는 한정화 교수(한양대)가 좌장을 맡고 ▲강영수 과장(금융위원회) ▲김용진 교수(서강대) ▲박치형 처장(동반성장위원회) ▲서경란 실장(IBK경제연구소) ▲추문갑 본부장(중기중앙회)이 지정토론자로 나선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