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교양 '대체로 만족' 전공은 '그럭저럭'

기업체 CEO들은 대학교육이 직원들의 기본능력과 세계관은 어느정도 향상시켰지만, 가치관과 인성관에 대한 기여도는 낮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교육인적자원부가 전국경제인연합회와 공동으로 산학공동조사팀(팀장 김재영 충남대 교수)을 구성해 지난해 10~11월 대기업과 중소기업 현직 CEO 19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밝혀졌다.
산학공동조사팀이 기업 CEO들을 대상으로 대학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설문조사결과를 알아본다.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을 기본능력, 세계관, 조직관, 가치관, 인성관, 적용력으로 구분해 각 항목에 대해 기업이 인식하는 중요도를 측정
▲기본능력
- 기본능력은 의사표현력, 추진력, 시사상식, 업무상식(지식), 업무상식(기술)의 5개의 세부능력으로 구성
- 기본능력에 대한 CEO의 요구정도는 4.62점으로 요구수준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지식 업무상식이 다른 세부능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음
▲세계관
- 세계관은 국제감각, 외국어 구사능력, 세계화 마인드 3개 세부능력으로 구성
- 기업의 요구 정도는 평균 4.91점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외국어 구사능력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음
▲조직관
- 조직관은 조직에 대한 이해력, 대인관계, 상호협력체제 구축의 3개 세부능력으로 구성
- 조직관에 대한 요구는 4.67점으로 요구수준이 다소 높았는데 회사의 업종별로는 서비스 업종이, 전공별로는 인문계열이 많을수록 요구 정도가 높았음
▲가치관
- 윤리의식, 창의력, 도전정신의 3개 세부능력으로 구성
- 기업의 인재에 대한 가치관 요구정도는 4.77점으로 다소 높았으며, 서울 지역 기업에서 높은 요구수준을 보였으며, 직원 중 인문계열 비중이 높을수록 기대 수준이 높았음
▲인성관
- 융통성, 적극성, 책임감, 성실도, 예절 및 태도 5개 세부능력을 통해 측정
- 인성관에 대한 요구는 평점 4.73점으로, 역시 다소 높은 수준이었으며 그 중 적극성(4.94점)의 요구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아 리더십을 발휘하는 능동적인 직원에 대한 기대가 높음
▲적용력
- 전공활용능력, 문제해결능력, 업무적용능력, 학습능력, 유연한 사고력, 분석력, 판단력 7개 세부능력으로 구성
- 적용력(5.16점)은 요구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다른 항목보다 높은 점수를 받아 기업이 직원들에게 가장 요구하는 부문으로 나타남

◇대학교육의 효과에 대한 기업의 인식
▲기업이 요구하는 인재상과 관련하여 대학교육의 효과에 대해 대학교육이 직원들의 기본능력과 세계관을 대체로 향상시켰다고 보았음
- 세계관 중 국제감각의 대학교육 효과를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
- 다만, 기업의 요구가 가장 컸던 외국어 구사능력(5.08)에 대한 대학교육의 효과는 다소 만족한 수준(4.04)에 그쳐 향후 외국어 교육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
▲조직관에 대한 대학 교육의 효과는 기본능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음. 보통보다는 다소 효과가 있다는 평가에 더 가까움
- 특히, 조직에 대한 이해력 및 상호협력 체제 구축 측면에서 대학 교육의 효과를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
▲직원들의 가치관과 인성관에 대한 대학 교육의 효과에 대한 평가는 보통과 다소 긍정적인 편이었으나 다른 항목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음
- 가치관 중 기업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창의력과 도전정신에 대한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인성관 중에서는 예절 및 태도와 적극성에 대한 기여도가 관련 세부능력 중 가장 낮게 나타났음
▲적용력은 보통 보다는 다소 긍정적인 편에 가까웠으며, 전공활용 능력에 대한 신뢰가 높아 이 부분은 대학교육이 어느 정도 기업체의 요구에 부응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기업의 만족도
▲대학 교육과정(전공교육, 교양교육, 전문화교육)에 대한 기업의 만족도는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는데, 교양교육이 상대적으로 보다 높은 평가를 얻었으며 전공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음
- 전공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 수준임(3.60점)
※ 전공 교육 : 전공 기초교육, 전공 심화 및 최신이론 교육, 전공 실험실습 교육, 현장 실습 교육, 의사소통능력 향상 교육, 문제해결 능력 개발 교육
- 교양 교육의 경우 다소 만족으로 나타남(4.08점)
※ 교양 교육 : 일반 교양교육, 인성교육, 창의력 개발교육
- 전문화 교육의 경우 보통 수준보다 다소 만족하는 편에 가까움(3.91점)
※ 전문화 교육 : 정보화교육, 외국어교육, 세계화교육

▲대학에서 얻은 지식과 기술의 현장요구 부합도에 대한 평가는 3.58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남
- 전체 198명 중 111명(56%)은 현장요구에 부합한다고 응답하였으며, 부합하지 않는다는 응답(87명) 중 교과과정이 기업의 요구와 무관(38명, 43.7%)이 가장 많았으며, 새로운 지식, 기술에 대한 교육 부족(22명, 25.3%), 교과과정이 이론중심에 그침(18명, 20.7%) 순으로 나타남
- 기업 CEO 입장에서는 시설이나 장비보다 교육 전반에 대한 근본적 요구 및 개선책이 더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냄

▲개별 교육내용에 대한 기업의 만족도는 3.69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평가됐고 문서 작성이나 컴퓨터 활용 등 기술적인 측면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이나, 문제해결은 보통 수준, 리더십과 창의력 개발 등 핵심 능력의 개발에 대한 평가는 다소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남
- 경영 기초(3.89점), 경제 기초(3.82점)에 대한 평가는 전체 평균에 비해 다소 높은 수준이나 법 기초(3.55점)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낮음
- 문서작성법(4.41점), 컴퓨터 활용법(4.54점)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반면 문제해결기법(3.52점), 리더십(3.31점), 창의력 개발(3.02점)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 의사소통기법(3.63점), 대인관계기법(3.69점)에 대한 평가는 보통 수준이며, 비즈니스 예절(3.77점), 비즈니스 영어(3.81점)에 대한 평가는 보통보다 약간 긍정적인 편에 가까움

◇교육정책에 대한 기업의 인식
▲교육정책에 대한 기업 CEO의 평가점수는 3.53점으로 다소 만족과 다소 만족하지 않음의 중간인 보통 수준으로 나타남
- 인력 양성뿐만 아니라 양성되는 인력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해 노력해야 하며, 산학협력 지원의 활성화를 요구하고 있음을 보여줌
▲대학 교육을 통한 인력 양성에 대한 인식
- 해당 분야에 적정한 수의 인력을 배출하는 교육정책을 시행하고 있는가에 대한 평가는 3.79점으로 보통 보다 약간 긍정적인 편에 가까워 관련 세부항목 중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음.
- 해당 분야에 적절한 능력을 갖춘 인력을 배출하고 있는가에 대한 평가는 보통 수준(3.49점)으로 다소 중립적이지만 앞선 적정한 수의 인력배출에 비해 상대적으로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 대학의 인력 양성의 양적 측면에 비해 질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임
▲산학협력 지원 정책에 대한 인식
- 정부의 산학협력 지원 정책의 양적 수준에 대한 평가는 3.57점으로 보통 수준에 머물러 만족도가 높지는 않음
- 산학협력 지원 정책의 질적 수준은 3.26점으로 만족도가 낮음
- 한편 산학협력의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판단(4.12점)
-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형태에 대한 선호는 주문식 교육(4.51점), 기업 임직원의 대학 파견교육(4.45점), 장기 인턴십(4.06점), 산학협동 연구개발(4.04점), 교수의 기업체 파견교육(3.87점), 산학협동 학위 과정(3.55점) 순으로 나타나, 기업과의 산학협동 형태로 주문식 교육이 선호됨
▲교육재정 정책에 대한 인식
- 기업이 평가하는 교육재정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3.36점으로 보통보다 약간 낮음
- 대학 교육재정 투입에 대한 기업체의 만족도는 평균 3.51점으로 보통 수준
- 대학 교육재정의 효율성에 대한 평가는 3.21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음
▲정부가 추진 중인 정책에 대한 인지도 및 참여의사
- 대학생 장기 인턴십 제도 : 인지도가 높은 편이며(4.37점) 수용 의사도 보통 수준보다는 다소 긍정적임(3.86점)
- 학교기업 : 인지도(3.05점)는 다소 낮으며 관심도(3.34점)는 보통보다 약간 낮은 수준임
- 계약학과 : 인지도(2.88점)가 관련 항목 중 가장 낮았으나, 도입의 기대효과는 다소 긍정적인 편(3.94점)으로 활성화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됨

◇IMD 국가경쟁력 평가 관련 설문 조사
▲IMD 국가경쟁력 평가에서의 설문 문항을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교육의 국제경쟁력에 대한 평균은 3.49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IMD 평가(‘04) 결과에 비해 기업체 CEO들의 평가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남
▲대학 교육 및 교육 제도가 경쟁사회의 요구에 부합하는 정도에 대한 평가는 IMD 국가경쟁력 평가에서보다는 상당히 긍정적인 편이었으나, 기업-대학간 지식이전에는 부정적인 인식을 나타냄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