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14 (토)

  • 맑음동두천 -4.8℃
  • 맑음강릉 0.4℃
  • 맑음서울 -1.8℃
  • 맑음대전 -2.0℃
  • 맑음대구 1.3℃
  • 맑음울산 0.6℃
  • 광주 0.1℃
  • 맑음부산 1.5℃
  • 흐림고창 -0.8℃
  • 흐림제주 6.8℃
  • 맑음강화 -2.4℃
  • 맑음보은 -2.2℃
  • 맑음금산 -3.2℃
  • 구름많음강진군 1.3℃
  • 맑음경주시 1.2℃
  • 맑음거제 2.6℃
기상청 제공

[강상헌의 심우도] 하제 또는 내일의 언어학

‘내일’도 한국어다, ‘하제’는 來日보다 더 토박이 한국어다.

 

과거-현재-미래를 이르는 다른 이름인 어제-오늘-내일 중 하필 내일만 한자로 된 말이어서 늘 얘깃거리가 된다.

 

그 來日은 ‘온다’는 뜻의 한자 래(來)와 해(태양)를 이르기도 하는 말인 ‘날’ 일(日)의 합체다.

 

‘내일’을 대신할 ‘하제’란 말이 최근 젊은이들의 생활언어로 펴지고 있음을 주목한다. 순수한 우리 토박이말을 찾아 복원하는 일은 의미 있다.

 

이 말은 고려 때 중국 사람이 쓴 고려 말(언어) 교본(계림유사)에 명일왈할재(明日曰轄載)라는 대목을 주목하여 우리 언어학이 찾아낸 것이다. 고려시대 당시 내일(의 발음)이 ‘하제’였다는 것이 문자학자 故 진태하 교수의 연구결과다.

 

저 대목은 ‘고려 사람들이 명일(明日 내일)을 ’할재‘라고 하더라(曰 왈)’는 중국 사람의 기록이다. ‘할재’의 당시 중국말 발음이 ‘하제’였다는 것이 진 교수 연구의 핵심이다.

 

그러므로 고려 때 사람들은 내일은 하제라고 했다, 즉 당시 내일 뜻의 우리말(발음)은 하제였다는 것. 소리를 표시하고자 활용한 말이니 ‘할재’의 의미를 따지는 건 의미 없겠다.

 

비슷한 말이 또 있다. ‘하제’와 발음이 비슷한 ‘아제’가 ‘내일’의 원래 우리말이었다고 하는 것이다. ‘아 다르고, 어 다르다.’는 말을 ‘아제 다르고, 어제 다르다.’고 읽어보면 별스런 통찰을 준다. 농부철학자 윤구병 선생이 펼친 주장이다.

 

겨레학자 故 백기완 선생은 ‘올제’라는 말을 내일의 뜻으로 가르쳐주기도 했다. 새 소식의 뜻을 ‘새뜸’이라 하여 ‘올제 새뜸’(내일의 소식)이란 말을 언론계에 제시하기도 했다.

 

원래 우리말이 잊히는 것은, 우리 마음의 반듯한 본디가 그 망각의 골짜기에서 사그라지는 것 같아 안타깝다. 이런 까닭과 인연으로 ‘어제-오늘-하제’의 시간적 선형(線形)에 우리들 한국어 언중(言衆)은 더 주목할 일이다.

 

우리 겨레의 이름은 대한(大韓)이다. 이는 마한 변한 진한의 삼한(三韓)의 전통을 계승한 이름으로, 역사적으로 또 이웃 나라들도 우리를 그리 불러왔다. ‘큰 한 겨레’의 뜻이다. 남한(南韓)은 현대사의 이데올로기가 더럽힌 우리의 허접한 얼굴일 따름이다.

 

민주주의를 선택한 국가라는 뜻에서 ‘대한민국’이 된 것이다. 줄여 한국(韓國)이다. 한자어라고 ‘대한’을, 또 ‘한국’을 우리말 한국어가 아니라고 하는 것은 어불성설(語不成說)이다. 내일(來日)도 그런 취지에서는 엄연한 한국어다.

 

‘명일왈할재’에서 본 것처럼 중국은 ‘오늘의 다음날’을 明日이라 한다. 요즘은 명천(明天 míngtiān)이란 말이 일반적이다. 일본도 明日(아시타 あした)이라고 한다. 한국인 來日이다.

 

‘내일’은 한국어의 한 요소인 한자어(휘)이니. 굳이 배척할 이유는 없다. 그러나 온전한 토박이말로 ‘하제’가 있으니 이를 즐겨 더 쓰는 것이 또한 기쁘지 않겠는가 하는 뜻을 한글날을 앞둔 시점에 아뢰는 것이다.

 

아직 국어당국은 이 대목에 별 관심이 없어 보인다. 하제를 국립국어원의 국어사전에서 찾으면 여러 ‘하제’ 중 ‘설사가 나게 하는 약’이란 뜻의 下劑가 제일 먼저 뜬다. 우리 세상 지성(知性)의 변비(便祕)도 이만큼 심한가 보다. 내일의 뜻 하제는, (언급도) 없다.

 

고운 말은 쓸수록 이뻐진다. 뜻도 바로 선다. 어제-오늘-하제, 곱지 않은가?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