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성문화원과 덕봉서원은 양곡 오두인 선생 탄신 400주년을 맞아 기념식과 학술대회 등 기념사업을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기념사업은 선생의 순절충신 선비정신을 기리고 계승하기 위해 덕봉서원 숭모회, 해주오씨 정무공파 종중, 안성문화원이 함께 준비해 오는 10월 31일 개최될 예정이다.
양곡 오두인 선생은 조선시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해주, 자는 원징, 호는 양곡이다. 그는 1649년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경기도관찰사, 공조판서, 한성판윤, 형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영의정에 추증된 바 있다.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문인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그의 셋째 아들 오태주가 숙종의 여동생 명안공주의 부마로 임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인현왕후 민씨의 부당한 폐위에 반대하는 소를 올렸다가 유배당하게 된다. 고문 후유증으로 1689년에 세상을 떠난 선생은 5년 후인 1694년 숙종에 의해 영의정으로 추증되고 '충정'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이번 기념행사는 선생의 탄신 4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준비되었다. 오전 10시부터 정오까지 진행되는 ‘양곡 오두인 선생 탄신 400주년 기념식’에서는 문화공연과 함께 선생의 충절과 덕행을 기리는 시간이 마련된다. 기념식은 안성시 양성면에 위치한 덕봉서원에서 진행된다.
또한, 같은 날 오후 2시부터는 ‘양곡 오두인의 삶과 안성의 유교문화’를 주제로 한 학술대회가 안성맞춤아트홀 문화살롱에서 개최된다. 안성문화원 부설 안성학연구소가 주관하며, 한국학중앙연구원, 덕성여자대학교수, 한국국학진흥원 연구원 등이 참여하여 선생의 삶과 유교문화를 심도 있게 논의할 예정이다.
안성문화원 박석규 원장은 “조선시대 충절과 덕행을 실천한 인물인 양곡 오두인 선생의 삶을 되돌아보고 선생의 선비정신을 배우고 기리기 위해 이번 기념사업을 준비하게 됐다”며, “선생의 삶과 정신이 문화유산적 및 학술적 측면에서 재조명될 수 있도록 많은 시민의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덕봉서원 정운순 원장 또한 “선생의 탄신 4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함께해주시는 박석규 원장님을 비롯한 안성문화원에 감사드리며, 이번 기념사업이 차질 없이 준비될 수 있도록 덕봉서원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정성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