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03 (화)

  • 맑음동두천 -2.0℃
  • 맑음강릉 7.1℃
  • 맑음서울 -1.1℃
  • 맑음대전 2.0℃
  • 맑음대구 7.6℃
  • 맑음울산 8.2℃
  • 맑음광주 6.3℃
  • 연무부산 9.9℃
  • 구름조금고창 3.9℃
  • 연무제주 10.8℃
  • 구름조금강화 -1.5℃
  • 맑음보은 2.5℃
  • 맑음금산 2.3℃
  • 맑음강진군 7.2℃
  • 맑음경주시 3.7℃
  • 맑음거제 10.0℃
기상청 제공

[생활에세이] 너만의 명작을 생각하라

 

역시 ‘이름 좋은 책은 옷도 잘 입는다.’ 책 제목이 얼굴의 눈이라면, 표지의 꾸밈은 그 사람 의상과도 같다. 는 생각에 평소 내가 즐겨 써온 문장이다. 좋은 책은 옷도 잘 입는다는 뜻은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는 속담과도 맥이 통한다.

 

책 쇼핑을 나갔을 때, 생각지 않았던 책이 손에 잡혀 책장을 넘기게 되는 경우가 있다. 책 사냥의 쾌감을 느끼게 되는 순간이다. 독서인으로서 미소를 머금게 되는 순간이기도 하다. 이어지는 생각은 ‘그래 이 책이 내 영혼을 만져주겠지’ 하는 기대감이다. 집으로 돌아와 책장을 넘겨 읽을 때 첫 문장에서 전체를 밀고 나가게 하는 힘이 느껴지는 책이 좋은 책이다. 방송 광고는 20초 전쟁이라고 했다. 20초 안에 살 것인가 말 것인가를 결정한다는 순간의 스릴을 강조하는 말이다.

 

아침햇살이 엷은 안개 같이 숲 속 나무사이로 비단길을 내듯 내리는 아침, 숲의 의자에 앉아 생각에 젖을 때, 내 마음은 고요하고 아늑해진다. ‘너만의 명작을 생각하라’는 은혜의 시간인가 싶어 감사 량이 가슴속으로 차오르기도 한다. 그때 나는 메모를 하며 작은 기쁨 속에 새로운 문장을 구상하면서 한 작품 할 수 있겠다는 기대를 안게 된다. 그리고 나 자신의 길에서 순수한 보람 같은 것을 확인하게 된다. 그날만큼은 누군가를 만나서 행복하고 사랑스러운 대화를 나누며 복 짓는 시간을 보낼 수도 있겠다는 넉넉함이다.

 

'너만의 명작을 그려라'는 책을 2003년 홍지서림에서 만났다. 우연히 만나 작가로서 읽지 않으면 안 될 뻔한 책임을 알게 되었다. 사온 책 안표지에는 사인도 하지 않고 넘겨지는 책장이 모아지는 곳에 낙관만 하나 찍어두었다. 저자의 첫 문장이다. ‘나는 왜 이 책을 썼는가, 그리고 당신이 이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로 시작되었다. 이어지는 문장은 ‘어떻게 하면 짧고도 기적적인 삶을 가장 잘 살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지금부터라도 가장 덜 후회스러운 삶을 살 수 있을까?’라고 쓰여 있다.

 

이 책을 대구에서 사업하고 있는 친구 아들에게 선물했다. 그 녀석이 대학을 졸업하고 사업을 시작하면서 제 아버지에게 ‘『너만의 명작을 그려라』는 책이 정말 좋은 책이었다.’고 했다면서 친구는 내게 그날 저녁 식사파티를 멋지게 해 주었다. 조금은 늦었지만 이때쯤이면 대학 진학과 인생의 길을 선택할 시즌이다. 그런데 나와 고향이 같은 후배 여인의 아들이 의사가 되는 길을 걷게 되었다고 했다. ‘작지만 큰 교회’에서 만난 아들의 어머니와 아버지의 봉사활동 그리고 얼굴 드러내지 않으며 실천하는 행동‘ 등의 믿음생활이 깊은 강물 같다는 것을 보고서 그분들 아들에게 줄 선물로 '너만의 명작을 그려라'를 선택했다.

 

공군을 지원 입대한 세온(손자)이가 제대를 하면, '너만의 명작을 그려라'라는 책을 구입해 ‘마음에 드는 사람만 골라 만날 수 없다./ 크고 작은 나무들이 한데 어우러져 숲을 이루듯/ 함께 더불어 살아야 한다./ 는 글을 새겨서 줄 것이다.

 

고등학생으로서 독서활동에 매달릴 때의 일이다. 1945년 8월 서울시 동대문구 청량리 뇌병원 원장으로서 국내 1호 정신병원 설립자 고 최신해(崔臣海)라는 분이 있었다. 그분은 의사요 병원 원장이었지만 내가 읽은 그분 수필집이 세 권이다. 의사요 약사요 변호사라고 해서 자기만의 명작을 그리(짓)지 말라는 법 없다. ‘피천득!’ 하면. 수필가로서의 그의 수필 ‘오월’이 금방 떠오른다. ‘내 나이를 세어 무엇 하리 나는 오월 속에 있다.’ 는 수필이다. 그리고 그분의 ‘인연’이란 수필이 뒤를 잇는다. 그분 아들은 의사였다, 그러면서 우리 아버지는 의사인 자기보다 더 유명한 분’이라면서 그도 작가가 되어 글을 썼다. 직업은 직업이고 나의 명작은 명작의 길에 존재 한다. 살다 보면 전공보다 부전공이 훨씬 더 그 사람의 명작이 될 수 있다.

 

세상의 창을 ‘넓게 그리고 남달리 다양하게 볼 수 있는 시야’를 젊은 영혼들에게 말해주고 싶다. 나는 사회적으로 보여줄 것이 별로 없다, 그래서 더욱 유머러스하며 자유롭게 나의 길을 걸어가면서 ‘자신만의 명작’을 고민하고 있다. 거짓 없이, 그날까지 그렇게 살 것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