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는 국토교통부가 평가하는 스마트도시 인증을 다시 획득했다고 1일 밝혔다.
스마트도시 인증은 지난 2021년부터 국내 도시의 스마트화 수준을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우수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도입됐다.
시는 2022년 최초 인증을 받은 바 있다.
하지만 올해 인증 기간 만료가 다가오자 ‘2029 인천시 스마트도시계획(2025~2029 중장기계획)’ 수립과 병행해 재인증을 준비해 왔다.
재인증 과정에서 제출한 우수사례는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인천 데이터 허브, 드론 활용 갯벌 안전관리 서비스다.
특히 시가 개발한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은 긴급 상황 발생 시 법무부·경찰·소방 등 관련기관에 정보를 연계·전송하는 서비스다.
올해 10월부터 스마트교차로에 설치된 CCTV 820대가 추가 활용돼 수배차량에 대한 신속한 경찰 대응이 가능해졌다.
인천 데이터 허브는 과학적 데이터 분석과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창의적 혁신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
드론 활용 갯벌 안전관리 서비스도 드론 순찰 사업 도입 이후 갯벌 사고를 86% 감소시키는 성과를 거둬 스마트도시 재인증에 기여했다.
김민규 시 도시관리과장은 “스마트도시 재인증은 인천시가 첨단 기술을 활용한 도시 혁신의 기반을 다졌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이달 중 인증 현판 교체식을 진행할 예정이다. 2029 인천시 스마트도시계획에 대한 시민 공청회는 내년 1월 개최한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지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