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유력 경제 매체 포브스가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사태'의 후폭풍을 한국 국민이 고스란히 짊어지게 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을 내놨다. 윤 대통령의 이해할 수 없는 결단이 결국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몸소 입증하는 표상이 됐다고 지적한 것.
포브스는 6일(현지시각) 2024년 한국을 넘어 전 세계에 충격을 안긴 계엄사태가 한국 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에 대해 "윤 대통령의 이기적인 계엄령 도박에 대한 대가는 한국의 5100만 국민들이 할부로 지불하게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포브스는 "이번 계엄사태는 한국이 그동안 극복하기 위해 안간힘을 써 온 과거 군부 통치 시절을 상기시켰다"며 "윤 대통령은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주장하는 투자자들이 옳다는 것을, 1948년으로 시계를 돌림으로서 한국이 여전히 글로벌 시장과는 괴리가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분석했다.
매체는 '계엄 사태가 한국 경제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최상목 경제부총리의 의견이 맞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하진 않았지만 "중국의 경제둔화, 미국의 정권교체 등 어려운 상황에 직면한 한국이 이번 계엄사태로 정치적 마비 상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을 가능성이 커진다"며 회의론에 힘을 실었다.
포브스는 "한국은 인도네시아에 이어 미얀마, 필리핀, 태국에 이어 아시아의 계엄령의 상징이 돼버렸다"고도 했다.
또한 윤 대통령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고질적인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실패했다고 꼬집었다.
포브스는 "윤 대통령은 성 불평등을 해소하거나, 이미 세계 최저 수준인 출산율 하락을 막거나, 수출에 대한 경제의 과도한 성장 의존도를 낮추는 데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며 "매우 불확실한 내년을 맞이하기에 충분히 나쁜 상황"이라고 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