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악취관리지역 11곳의 지점들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 모두 배출허용 기준치 이내로 조사됐다.
8일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악취관리지역 11곳에 속한 지점 80곳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상‧하반기 실태조사 결과 복합악취는 대부분 지역에서 무취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정악취물질에 해당하는 암모니아‧황화수소‧톨루엔 등은 상반기에 11종, 하반기에 12종이 미량 검출됐지만 모두 배출허용기준치 이하였다.
그 외 물질은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악취관리지역은 악취 민원이 1년 이상 지속되고, 악취배출시설 운영사업장이 두 개 이상 인접해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는 곳이다.
시는 악취관리지역이 생겨난 2008년부터 매년 악취 민원 현황을 지속적으로 반영해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실태조사는 악취관리지역의 복합악취와 지정악취 22개 항목 등 모두 23개 악취유발물질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운영해 새벽‧주간‧야간 3회씩 상‧하반기에 걸쳐 진행한다.
해당 지역들은 주민 생활환경 보전을 위해 지정‧관리되고, 대기환경개선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권문주 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앞으로도 시민들의 쾌적한 생활환경을 위해 지속적인 악취 모니터링과 적극적인 대기 환경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지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