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3인 이하 가구 청약은 '언감생심'...청약시장 고가점 전쟁

평균 당첨 가점 50.9점...강남 3구 평균 72점
만점 통장 10건…중장년층 고가점 집중

 

올해 아파트 청약 경쟁이 한층 치열해지며, 인기 지역 신규 아파트 당첨을 위해서는 50점 이상의 높은 가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만점인 84점 통장이 10건이나 등장하는 등 고가점 경쟁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이런 추세 속에서 청년층은 사실상 청약 가점제로 당첨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17일 리얼하우스가 2020~2024년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의 당첨 가점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전국 민간 분양아파트 당첨 가점 커트라인(하한선)은 평균 50.9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점수다.  2020년 48.0점, 2021년 47.5점, 2022년 41.0점, 2023년 46.6점과 비교하면 해마다 점차 상승하는 흐름이다.

 

당첨 가점 커트라인 평균은 청약홈에 명시된 최저 당첨 가점의 평균을 산정한 수치로, 미달된 단지는 제외된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압도적으로 높은 가점을 기록했다. 올해 당첨자 발표가 완료된 서울의 30개 아파트 단지 평균 커트라인은 63점이었다. 특히 강남·서초·송파로 구성된 강남 3구는 평균 72점에 달했다. 이는 청약 가점제로 강남 입성을 꿈꾸기 어려운 수준이다. 3인 가구 기준 가점 만점이 64점인 점을 감안하면 3인 이하 가구는 사실상 당첨 가능성이 없다는 분석이다.

 

뒤를 이어 전북이 58점으로 전국 두 번째로 높은 가점을 기록했다. 전북에서는 청약 양극화 현상이 당첨 가점을 끌어올렸다. 지난 5월 분양된 ‘에코시티 더샵4차’는 191.2대 1이라는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반면, 군산·남원·봉동·익산 등 일부 단지는 미달 사태를 겪으며 극명한 차이를 보였다.
 

뒤를 이어 경기도가 평균 51점을 나타냈고, 충북 48점, 제주∙전남이 47점, 대전 46점, 울산 45점, 인천∙충남∙대구∙경남은 44점 등의 순이다.

 

올해 청약시장에서는 무려 10개의 84점 만점 통장이 등장하며 고가점 경쟁의 정점을 찍었다. 2022년에는 만점 통장이 전무했고, 지난해에도 단 1건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가파른 증가세다.


첫 만점 당첨자는 5월 전북의 ‘에코시티 더샵4차’와 서초구 ‘래미안 원베일리’에서 나왔다. 이후 ‘래미안 원펜타스’에서는 단지 내 3개 타입에서 각각 만점자가 나왔으며, ‘과천디에트르 퍼스티지’, ‘산성역 헤리스톤’, ‘디에이치 대치 에델루이’ 등에서도 만점 통장이 속출했다.


84점은 무주택 기간 15년 이상(32점), 청약통장 가입 기간 15년 이상(17점), 부양가족 6명 이상(35점)을 모두 충족해야 받을 수 있는 점수다. 이처럼 만점을 받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무주택 생활과 청약통장 관리, 대가족 구성 등 까다로운 조건이 필요하다. 


김선아 리얼하우스 분석팀장은 “지난해 추첨 물량도 대폭 늘어난데 이어 올해 신생아 특별공급, 신생아 우선공급 등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분양 물량이 증가하면서 중장년층은 청약 기회가 줄었다”며 “고가점 중장년층이 가점제로 몰리면서 당첨 커트라인은 올라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