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7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인천시의회에서] 신영희 의원, 인천 섬 지역 해수면 상승 대책 시급

해수면 상승으로 옹진 섬지역 침수…예산·관측·전담기구 등 필요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인천의 섬들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수 피해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4일 제300회 인천시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신영희(국힘·옹진) 의원은 5분 발언을 통해 도시지역 침수 피해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신 의원에 따르면 국립해양조사원의 조사 결과 서해안 해수면은 지난 35년간(1989~2023년) 연평균 3.15㎜씩 상승했다.

 

이는 전 세계 평균 해수면 상승률이 1993년 연간 약 2.1㎜에서 2023년 약 4.5㎜로 증가한 것과 비교해도 주목할 만하다.

 

특히 지난 1924년에 조성된 서해 3대 어항 중 하나인 덕적도 북리항의 피해가 심각하다.

 

신 의원은 “지난해 대조기 때 북리항에서는 바닷물이 도로와 주택 내부까지 침투해 주민들이 무릎까지 차오른 물을 밤새도록 퍼내야 했다”고 토로했다.

 

문제는 이러한 침수 피해가 북리항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지난해 8월과 9월 대조기 때 대청도·소청도·연평도·승봉도 등에서 도로 34곳, 물양장 17곳, 주택 5곳, 새우양식장 1곳 등 총 57곳이 침수 피해를 입었다.

 

이를 통해 인프라 부족과 해수면 상승 관측 체계 미비, 기후변화 대응 조직의 비체계성 등의 문제가 드러나기도 했다.

 

이에 신 의원은 대조기 침수가 반복되는 지역에 우선 긴급 예산을 지원하고, 섬 지역의 체계적인 관측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신 의원은 “옹진군은 재정이 열악해 자체적으로 대규모 방재시설을 확충하기 어려운 실정이라 인천시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재난관리기금을 활용한 긴급 예산 지원과 해수면 상승 정말 관측 체계 구축, 전담 기구 신설, 중앙정부와의 협력 강화가 해결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은 더 이상 막연한 미래의 위기가 아니다”며 “지금도 인천 섬 지역 주민들은 침수 피해로 인해 생존을 위협받고 있는 만큼 시의 신속하고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정희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