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국혁신당이 4일 대한민국 민주주의 최초로 더불어민주당 등 모든 야당과 시민사회에 ‘대선 오픈 프라이머리’를 공식 제안했다.
김선민 당대표 권한대행은 이날 국회에서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혁신당은 야권과 시민사회가 참여하는 대선 오픈 프라이머리 ‘국민주권 아레나 2025’를 제안한다”고 밝혔다.
혁신당이 제안한 국민주권 아레나 2025는 ▲모든 야권정당 대선후보 참여(시민사회 추천 인물도 후보 참여 가능) ▲결선투표제 도입(1차 컷오프·2차 경선·3차 결선투표) 등의 원칙을 담고 있다.
또 ▲후보·공약에 각각 국민투표(최종후보가 되지 못하더라도 공약은 반영될 수 있는 구조 확립) ▲100% 온라인 투표 아레나 방식(블록체인 방식 도입 등) 등도 원칙으로 삼았다.
김 대행은 “차기 정부는 완전히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한 연합정부가 돼야 한다”며 “그 출발이 오픈 프라이머리다. 민주당을 비롯한 모든 야당이 함께해주길 간곡히 요청한다”고 당부했다.
혁신당은 해당 오픈 프라이머리 방식에 대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부터 ‘가능하다’는 취지의 유권 해석을 받았으며, 이 방식이 적용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행위에 관한 추가 유권해석을 요청한 상태다.
다만 조기대선 기간이 60일뿐인 데다 다수의 야당과 시민사회의 의견을 모으기까지 일정이 촉박한 것은 물론 온라인투표 방식에 따른 역선택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우려가 제기된다.

황현선 대선기획단장은 이에 대해 “시간만이 물리적인 문제이고, 나머지는 모두 정무적 결단의 문제”라며 “당이 제안한 방식은 오랫동안 고민하고 실무적인 검토, 선관위 법률상의 검토를 마친 안”이라고 안심시켰다.
황 단장은 “안 되는 이유를 찾으려면 100가지도 넘게 찾을 수 있지만, 해야만 하는 근거와 가치를 찾는다면 또 100가지 이상을 찾을 수 있다”며 “각 정치세력이나 시민사회가 주목해 이 사안을 접근하고 정치적 결단을 하는지를 국민도 눈여겨 볼 것”이라고 했다.
특히 민주당 등 야당에 오는 9일까지 답변을 요청했다. 다만 개혁신당과 관련해선 “야권에서 보수 쪽으로 가 있는 상태라 저희가 추진하는 방안에서는 적절한 포섭 대상이라고 보기 어렵다”면서도 “들어오겠다고 하면 적극적으로 환영한다”고 말했다.
한편 민주당은 우선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일정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우선 대선관련 언급을 삼가는 모습이다.
노종면 원내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원내대책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혁신당의 ‘대선 오픈 프라이머리’ 제안 질문을 받자 “(대선에 대해) 언급하지 말라는 지침을 받았다”며 말을 아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