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성시에 총 3개의 송전선로 건설이 예정(정부의 제10차 전력기본계획)된 가운데, 민주당 소속 안성시의원들이 강력 반대 의사를 밝혔다.
최승혁·이관실·황윤희 시의원은 "타 지역 산업단지와 SK·삼성 등 일부 대기업을 위한 송전선로 건설에 안성시가 일방적으로 희생될 수 없다"며 범시민 대책위를 통해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4일 한국전력은 안성시의회를 방문해 송전선로 건설 계획을 보고했다. 계획에 따르면, 한전은 345kV 송전선로 3개 노선을 신설할 예정으로, 각각 신원주-동용인(60㎞, 송전탑 130기), 신중부-신용인(74㎞, 송전탑 165기), 북천안-신기흥(72㎞, 송전탑 164기) 구간이 포함된다. 해당 선로는 일죽면, 죽산면, 삼죽면, 보개면, 서운면, 금광면, 고삼면 등을 지나게 된다.
그러나 이날 한전 측의 설명에 따르면, 이 송전선로는 사실상 용인 반도체 산업단지(SK·삼성)와 수도권 내 급증하는 데이터센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임이 확인됐다. 이에 대해 민주당 시의원들은 "수도권에 산업시설을 집중시키면서도 지역균형발전은 외면하는 정부 정책을 인정할 수 없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최승혁 시의원은 "반도체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대기업들은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의 자구적 노력 없이 국가의 송전선로 건설만 바라보고 있다"며 "안성시민의 희생을 강요하는 이번 계획을 좌시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황윤희 시의원도 "데이터센터는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막대한 전력을 소비하고 있다"며 "전력 공급이 충분한 지방으로 이전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이관실 시의원은 "국회는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데이터센터의 지방 이전을 의무화하는 법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안성시에 3개 송전선로가 집중되는 이번 계획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한전은 신중부-신용인과 북천안-신기흥 노선이 사실상 동일한 경로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 개의 송전선로를 따로 건설하는 이유에 대해 "향후 하나의 선로로 합쳐질 가능성이 있다"고 답변했다. 이에 대해 황윤희 시의원은 "기존 송전망 최적화 없이 추가 선로 건설을 강행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며, 지역 주민에게 막대한 피해를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한전은 송전선로 건설과정에서 주민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지만, 최적 경과지에 대한 주민과의 합의가 이뤄지지 않더라도 사업 강행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다. 민주당 안성시의원들은 "주민 반발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범시민대책위원회를 구성해 강력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경기신문 = 정성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