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국민 10명 중 7명 “가계경제 악화됐다”…물가상승 가장 큰 부담

한경협 조사…식료품·외식비 부담 급증

 

국민 10명 중 7명은 지난해보다 가계경제가 악화됐다고 느끼며 가장 큰 어려움으로 ‘물가상승’을 꼽았다. 또한 국민 10명 중 6명은 내년에도 경제 상황이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민생경제 현황 및 전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1.5%가 “지난해보다 가계경제가 악화됐다”고 답했다. 반면 “개선됐다”는 응답은 28.5%에 그쳤다.

 

국민들이 경제적으로 가장 큰 어려움을 느끼는 분야는 ‘물가상승’(71.9%)이었다. 이어 ▲실질 소득 감소(11.9%) ▲일자리 부족 및 불안정(9.5%) ▲부채 증가(2.7%) ▲교육비 부담(1.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1년 동안 가장 크게 오른 것으로 체감하는 부문으로 ‘식료품 및 외식비’(72.0%)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어 ▲에너지 비용(11.0%) ▲주거비(4.5%) ▲공공요금(3.4%) ▲금융 이자 비용(2.5%) 등이 뒤를 이었다.

 

일자리 안정성에 대한 질문에는 ‘불안정하다’는 응답이 43.1%로 ‘안정적이다’(26.5%)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 1년 후 가계경제 상황 전망에 대해서는 64.2%가 ‘더 악화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는 평균적으로 내년 가계경제가 올해보다 5.2% 악화될 것이라는 인식과 일치했다.

 

소득 전망도 비관적이었다.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이 52.1%로 ‘증가할 것’(47.9%)보다 많았다. 반면, 지출 전망에서는 54.2%가 ‘증가할 것’이라고 응답해 가계 부담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됐다.

 

국민들은 민생경제 안정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생필품 가격 안정화 조치’(58.4%)를 꼽았다. 이어 ▲에너지 가격 안정 조치(13.9%) ▲취약계층 선별 지원(9.7%) ▲소비 관련 세금 감면(7.9%)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일자리 정책에서는 ‘취약계층 맞춤형 일자리 지원’(24.6%)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미래 유망 산업 인력 양성(17.3%) ▲재취업 및 직무 전환 지원(16.8%) 등의 순이었다. 가계부채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주거비·교육비·의료비 등 가계부채 증가 요인 해소 정책’(41.1%)이 가장 시급한 과제로 꼽혔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고물가와 경기침체로 국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을 통해 투자와 고용을 확대하고, 특히 생필품 가격 안정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