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조선 성리학 깊이 조명…'호락논쟁' 발간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유의 한국사 시리즈 4번째…조선후기 사상 흐름과 철학적 가치 현대적으로 재해석

 

조선 성리학의 이론적 정수를 이루는 ‘호락논쟁’을 집중 조명한 연구서 '호락논쟁'이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에서 출간됐다. 이번 책은 한국 사상과 철학의 흐름을 알기 쉽게 풀어낸 '사유의 한국사' 교양총서 시리즈 네 번째 도서다.  

 

책의 저자인 문석윤 경희대학교 철학과 교수는 유가 철학과 조선 성리학에 대한 오랜 연구를 바탕으로, 호락논쟁의 전개 과정과 사상적 의의를 현대적 시각에서 해석했다. 문 교수는 앞서 『호락논쟁: 형성과 전개』를 통해 관련 학계의 지평을 확장한 바 있으며, 이번 신간에서도 철학적 깊이와 문헌적 균형을 함께 담아냈다.  

 

18~19세기 충청 기반의 호학과 서울 중심의 낙학은 ‘본성(性)’과 ‘마음(心)’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를 두고 날카롭게 맞섰다. 호학은 인간의 현실성과 기질을 중시하며 ‘극기’를 통해 보편성에 이르려는 입장이었고, 낙학은 타고난 본성의 보편성과 이상적 인간상을 강조했다. 이 논쟁은 단순한 이론 대립을 넘어 조선 지식인들이 인간과 도덕을 어떻게 인식했는지를 보여주는 지적 성과로 평가받는다.  

 

'호락논쟁'은 이 논쟁을 태동기부터 종결기까지 4단계로 나눠 체계적으로 서술하고, 관련 문헌과 인물, 정치·사회적 배경, 그리고 성리학의 핵심 개념인 리(理), 기(氣), 심(心), 성(性) 등을 상세히 해설한다. 특히 기존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함께 각 학파의 이론적 긴장을 균형 있게 풀어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이번 발간은 단순한 고전 해설이 아닌, 조선 철학이 현대 사회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고민한 결과물”이라며, “사상·철학에 관심 있는 독자에게도 폭넓은 이해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총 4년의 기획과 집필 과정을 거친 이번 책은 특정 이론에 치우치지 않고, 호락논쟁이 오늘날에도 유의미한 사유 주제임을 강조하며 독자에게 인간 본성과 윤리에 대한 깊은 성찰을 제안한다.  

 

[ 경기신문 = 김정기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