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포시가 개발과 문화유산 보존의 조화를 위해 ‘매장유산 유존지역 정보 고도화 사업’에 본격 착수했다. 시는 지난 5월 7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착수보고회를 열고, 정밀지표조사를 통해 유적의 분포와 특성을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국가유산영향진단법에 따르면, 영향진단 대상자에 해당하는 건설공사의 시행자는 건설공사 지역에 매장유산이 분포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지표조사를 실시해야만 한다
군포시 매장유산 유존지역 정보 고도화 사업은 군포시 전역에 대한 지표조사를 실시해 매장유산 유존지역의 합리적 보존관리 기반을 마련하는 사업이다.
시는 이 사업을 통해 공공 또는 민간의 개발사업 수립 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3기 신도시 개발계획과 산본신도시 16개 특별정비예정구역 내 재건축 등의 효율적인 추진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시는 앞서 2022년 대화동과 속달동 일대를 대상으로 1차 조사를 진행한 바 있으며, 이번에는 시 전역 중 13.46㎢를 대상으로 확대 실시한다. 용역은 (재)한울문화유산연구원이 맡아 올해 12월까지 진행되며, 조사 결과는 최종보고회를 통해 발표될 예정이다.
시 문화예술과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정밀지표조사를 통해 매장유산 유존지역을 확인하고, 유적의 종류와 분포 상태 등을 파악해 향후 개발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목적”이라며 “매장유산 데이터베이스를 국가유산청 GIS 시스템에 반영해 건축 인허가나 공사 시 지표조사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현재 시에는 총 9개의 지정문화유산이 존재한다. 대표적으로는 국가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백자요지’가 있고, 경기도지정문화유산인 방짜유기장과 전주이씨 안양군묘, 향토문화유산으로 등록된 둔대동 박씨고택 등 문화유산이 전역에 분포해 있다.
이번 사업의 용역비는 총 1억 2000만 원으로, 국비 8400만 원, 시비 3600만 원이 투입된다. 조사 범위는 선사시대부터 한국전쟁 이전까지의 매장유산을 대상으로 하며, 천연동굴·화석 등 지질유산은 제외된다.
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마련된 유존지역도와 보존조치 방안을 바탕으로, 향후 각종 개발사업과 문화재 보존 사이의 갈등을 사전에 예방하고, 문화유산을 도시 브랜드 자산으로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 경기신문 = 신소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