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는 도심형 자율주행 실증단지인 경기도 판교제로시티에서 지난 3월 제정된 자율주행차 데이터 국가표준(KD)이 처음으로 적용됐다고 15일 밝혔다.
자율주행차 데이터 표준은 차량 간, 차량과 도로 인프라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형식 규정한 것으로 차량 제조사와 지역 불문 같은 형식의 교통 신호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경기도자율주행센터는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이 운영하며 2020년 자율주행차 데이터 표준 ‘K-동맹’부터 산업통상자원부·국토교통부의 자율주행차 데이터 표준 개발·활용에 참여해왔다.
도는 2023년 자율주행 대중교통 ‘판타G버스’에 KS R 1600 시리즈 중 ‘차량 안전 기본 메시지’를 적용해 관제 센터와 통신, 실도로 기반 환경에서 검증했다.
지난해에는 도 자체 예산과 지자체 호환성 테스트 사업(한국표준협회 발주)을 통해 ▲교통 신호와 지도 메시지 ▲관제차량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다른 차량에 공유하는 프로브 메시지 ▲여행자 정보와 노변 경고 메시지를 추가 실증했다.
이를 통해 다양한 표준 메시지 간 상호 운용성과 지역 간 데이터 연계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도는 설명했다.
지난 3월 국토부에서 KS R 1600 시리즈 7종이 모두 제정된 후에는 해당 표준을 판교제로시티 도로인프라, 통합관제센터 등에 전면 반영했다.
현재 판교제로시티에서 운영 중인 판타G버스 등 자율주행 실증차량은 KS 표준 기반 메시지를 실시간 송수신하며 통합관제센터와 연동돼 운행 중이다.
이로써 판교제로시티는 지난 2021년부터 적용해온 미국자동차기술협회 국제 표준인 J2735, 국내 자율주행 데이터 표준(KS)을 모두 적용한 국내 유일 실도로 기반 표준 실증단지가 됐다.
메시지 표준에 이어 통신 표준도 적용될 예정이다.
경기도자율주행센터는 국내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C-ITS) 통신 표준 방식인 ‘LTE-V2X’를 올해 하반기 판교제로시티에 전면 적용할 계획이다.
도는 이달 관련 용역에 착수하며 하반기에는 실질적 통신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정한규 도 첨단모빌리티산업과장은 “판교제로시티는 자율주행 기술의 표준을 현장에서 구현하고 있는 대표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도 도는 자율주행 데이터 국가표준의 정착과 상용화를 선도하며 자율주행 기업들이 기술개발과 인증 대응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