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가 2GW 규모의 공공주도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지정 신청을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의견 수렴 절차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14일 시에 따르면 하병필 행정부시장의 주재로 해상풍력 민관협의회를 열고 정부·민간·공익위원 등 20여 명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내년 3월부터 해상풍력 발전사업이 ‘해상풍력 보급촉진 및 산업 육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에 따라 정부 주도의 계획입지 체제로 전환된다.
이에 시는 지자체 주도의 집적화단지 추진을 위해 오는 9월 산업통상자원부에 계획서를 제출하기로 결정했다.
민관협의회는 이를 위한 절차로, 다양한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집적화단지 지정은 추가 신재생에너지 인증 수익을 활용한 지역 상생방안, 주민 이익공유의 구체성, 민관협의회를 통한 수용성 확보 등이 주요 평가항목으로 작용한다.
시는 지난달부터 민간위원 12명을 개별적으로 방문해 사전 안건을 협의하고, 실질적인 의견 개진을 유도해 왔다.
또 집적화단지 평가항목 중 하나인 안정적인 전력공급 계획과 환경성 확보계획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지난 5월 관련 용역을 착수했다.
이를 토대로 지난 11일 ‘인천시 공공주도 해상풍력 과제관리자문단’을 구성해 자문 의견 청취를 위한 첫 회의를 개최한 바 있다.
자문단은 조공장 한국환경연구원 박사, 조철희 인하대 교수, 최정철 목포대 교수, 송승호 광운대 교수, 김범석 제주대 교수, 유충열 수협중앙회 팀장, 박찬석 주식회사 SCE 해외사업 고문 등으로 구성됐다.
시는 자문단의 의견을 바탕으로 사업계획을 보완해 집적화단지 지정 가능성을 높일 계획이다.
이어 이달 말부터 공공주도 해상풍력 예정지 인근 덕적도·자월도 및 외곽 도서지역 주민과 어민들을 직접 찾아가 사업 정보를 제공하고 의견을 듣는 숙의경청회도 개최한다.
하병필 행정부시장은 “특별법 공포로 집적화단지 지정 신청이 시급하게 추진되고 있지만 지역주민과 어민 등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 및 정보 공유에 소홀함이 없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지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