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8일 경기도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선거인단인 학교운영위 학부모위원의 선출이 파행적으로 이뤄져 교육감 선거의 공정성을 훼손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2일 전교조 경기지부 고양초.중등지회는 "고양지역 초.중학교들에서 부당하고 편법적으로 학교운영위 학부모 위원 선출이 이뤄지고 있다"며 "원칙없이 선발된 학교운영위원이 교육감 선거인단이 되는 것이 유효한지 선거관리위원회에 유권해석을 의뢰하겠다"고 밝혔다.
고양지회에 따르면 고양지역 4개 중학교, 17개 초등학교 등 21개 학교를 대상으로 학교운영위 학부모위원 선출 실태를 조사한 결과 2/3에 이르는 14개 학교가 간선제 방식으로 학부모위원을 선출했다.
학년별로 운영위원을 일정 배분해 선출하는 등 10개 학교에서 임의로 선거구를 조정했다.
특히 17개 학교에서 운영위 정원과 학부모 후보수가 같다는 이유로 투표를 하지 않은채 학교운영위원에 무투표 당선됐다.
일부 학교에서는 선출규정을 준수하지 않고 학부모 총회 당일 후보자를 추천해 무투표 당선되기도 했다.
고양지회는 "경기도교육청이 학교운영위원 선출에 직선제 실시를 권고하고 있지만 고양뿐 아니라 대부분 지역에서 간선제 선출방식을 고수하고 있다"며 "이는 불필요한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의욕적으로 학교운영에 참여하려는 뜻있는 지역인사의 출마에 불리한 상황까지 조장시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고양지회 주영진 사무국장은 "학교운영위원 선출이 대부분 간선제로 이뤄지면서 학교운영위가 학부모후원회 형태로 전락하는 경우가 많을뿐 아니라 교육감선거의 공정성을 훼손할 우려가 크다"며 "도교육청은 부당한 학교운영위원선출을 일삼는 학교장에 대한 진상조사 및 엄정한 행정지도를 실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고양지회는 13일 오후 지역사회단체들과 함께 '파행적 교육감 선거인단 선출방조 고양교육청 규탄 집회'를 열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