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수산부 ‘제2차 마리나항만 기본계획 수정계획(2025~2029)’에 덕적 마리나(서포리항) 예정구역이 제외됐다.
10년 넘게 진척이 없었던 덕적 마리나항만 조성 사업이 결국 무산된 셈이다.
해수부는 서포리항 등의 경우 전국 일주가 가능한 마리나 항해 코스를 연계한 소규모 계류시설, 즉 ‘기항지’ 역할이 적당하다는 설명이지만 이마저도 불투명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기존 어항 기능만 담당할 전망이다.
마리나항만은 유람·스포츠 또는 여가용 선박·요트의 출입 및 보관 등이 가능한 서비스 시설로, 해양레저산업을 육성하고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인천에는 2015년 7월 고시된 왕산 마리나항만 한 군데가 유지되고 있다.
해수부의 수정계획은 마리나항만구역과 항만 예정구역을 대폭 정비한 게 특징이다.
예정구역이었던 70곳을 40곳으로 축소한 건데, 바로 여기에 덕적 마리나가 들어갔다.
당초 덕적 마리나는 1차 마리나항만 기본계획 수정계획(2015~2019)에도 포함돼 있었다.
덕적면 서포리에 6만 9340㎡ 규모로, 요트 100척이 정박할 수 있는 계류시설과 서비스 및 공공시설이 들어설 예정이었다.
하지만 경제성 등을 이유로 민간사업자 모집에 실패하면서 사업은 멈춰 섰다.
해수부 관계자는 “10년 동안 아직 개발이 안 되고 있는 등 지자체에서 사업에 대한 계획 수립이 없어 제외했다”며 “수정계획에서 빠진 구역을 소규모 계류 시설로 전환하는 것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점, 마리나 항만 운영 실적이 저조한 점 등을 고려한 데 따른 대안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이마저도 기획재정부 문턱을 넘어야 한다.
마리나항만 수요가 많지 않아 개발자도, 운영자도 힘든 상황에서 국가 예산을 투입하는 데 반대가 있다는 해수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소규모 계류 시설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히 나온 게 없어 추이를 지켜보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지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