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바이오융합 산업기술단지의 앵커시설인 ‘수도권 통합캠퍼스’ 건립이 늦어지면서 올해 말 예정된 산단 분양이 부진할 수 있단 우려다.
3일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2억 원 규모의 ‘차세대 바이오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역량 강화 전략 수립’ 용역이 진행 중이다. 과업 기간은 올해 12월까지다.
여기에는 수도권 통합캠퍼스의 구성·방향과 바이오 산단 육성 전략 등이 담긴다.
하지만 이는 아직 연구 용역일 뿐으로, 캠퍼스 건립을 위한 실질적인 기본계획으로는 나아가지 못한 실정이다.
수도권 통합캠퍼스는 전국에 흩어진 센터·연구소를 한 데 통합해 연구의 연계성을 높이는 게 뼈대다.
특히 산단에 들어올 기업들과 연계해 정책기획, 연구개발, 기술지원, 각종 인증 등을 할 수 있어 이점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그런데 캠퍼스 건립비에만 3000억 원이 투입될 것으로 추정된다. 사업비는 국가와 기관, 지자체가 각각 40%, 10%, 50%를 부담한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관계자는 “막대한 비용이 예상돼 예비타당성 조사, 중앙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등 절차가 복잡하다”고 했다.
때문에 착공, 준공 시점도 미지수다.
인천시는 곧 산단 분양 공고를 앞두고 있다.
현재 인천테크노파크(ITP)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 간 산단 내 토지 매매 계약을 위한 협의가 진행 중이다.
계약 체결이 마무리되면 산단 조성 사업 시행자인 ITP 오는 12월 토지 분양 공고를 내고 기업을 유치할 예정이다.
시는 일단 산단 전체 4만여 평 중 2만 평을 먼저 분양하고, 나머지는 캠퍼스 입주를 대비해 기다릴 계획이다.
수도권 통합캠퍼스 ‘부재’가 분양 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여기에 부동산 경기, 바이오 산업 동향 등으로 인해 입주 예상 기업이 이전보다도 줄어든 상황이다.
이에 시는 캠퍼스가 들어오지 못할 경우에 대비하겠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구체적으로 계획이 나온 건 아니지만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 기관이나 바이오 관련 기관들, 아니면 다른 국책기관 등을 유치해보려 한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지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