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군이 어촌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해양 정책을 마련하는 등 관련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먼저 군은 어민들의 소득 수준을 높이도록 연안 어장에 수산 종자를 방류하고 있다.
부가가치가 높은 점농어, 조피볼락 등의 어린 치어를 바다에 방류하고 어촌계 마을 어장에는 백합, 가무락, 바지락 등 종패를 살포한다.
또 수산 종패 보존 및 개량, 질병 예찰, 우수 신품종 개발 등을 위한 수산종패연구소 유치를 추진중이다. 지난 7월 타당성 용역이 완료됐으며, 인천시와 협의하고 있는 상태다.
조업 시간 규제를 완화하기 위한 노력도 이어나간다.
군 해역은 접경지로 어선 출입항이 ‘일출부터 일몰까지’로 제한돼 있어 원활한 조업이 어렵다.
이에 군은 성어기(4월∼6월, 9월∼11월) 동안 항·포구 출입항 시간을 일출 전 2시간, 일몰 후 2시간까지 연장할 수 있도록 국방부·해수부·인천시에 강력히 건의하고 있다.
정주 여건을 개선할 어촌·어항 재생 사업도 한창이다.
특히 삼산면 장곳항 어촌신활력증진사업은 지난 5월 기본계획 승인을 받아 건축 설계공모, 해양이용협의, 안전인프라 개선 등 본격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행정절차가 진행 중이다. 내년 준공 목표다.
또 주문도 어촌신활력증진사업은 현재 기본계획 승인 절차가 이뤄지고 있다. 군은 이동형 편의점, 1박2일 관광체험 프로그램 등을 시범 운영해 성과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자원 활용과 일자리 창출방안 등 장기적인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박용철 강화군수는 “앞으로도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한 다양한 해양 사업을 전폭적으로 추진해 어촌의 지속 가능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지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