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인 가구’가 처음으로 1000만 세대를 넘어섰다. 행정안전부가 최근 발간한 ‘2025 행정안전통계연보’는 2024년 전체 세대 수 2411만 8928세대 가운데 1인 가구가 1012만2587세대라고 밝혔다. 1인 가구는 부모나 배우자, 자녀 등 가족 없이 한 가구에 혼자 거주하는 사람들이다. 4년 전인 2020년엔 906만3362세대였으니 불과 4년 만에 105만9225세대가 증가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1인 가구의 급증 배경을 혼인률 감소, 초혼 연령 상승, 직장 출퇴근 문제, 개인주의 확산, 가족해체, 고령인구 증가 등으로 분석한다.
1인가구는 경기도에 가장 많았다. 통계청 인구총조사(2024년)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도내 1인 가구는 177만 가구로 전국에서 최다였다. 도내 시군 중 1인 가구가 많은 지역은 수원(10.4%), 성남(7.6%), 고양(7.3%), 화성(7.0%), 용인(6.2%) 순이다.
그 중 도내 청년 1인 가구 비율은 1인 가구 전체의 34.9%를 차지했다. 하지만 경기남부 시·군의 경우 그 비율이 훨씬 더 높았다. 화성은 47.4%, 수원은 46.3%, 오산은 46.2%, 평택은 41.4%, 용인은 40%였다. 이는 경기도의 많은 청년들이 혼자 살면서 주거를 비롯한 생활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이야기도 된다.
지난 22일 국무조정실은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국민주권정부 청년정책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모든 청년에게 첫걸음 기회를 부여하고 기본생활을 지원하며 청년들의 정책참여를 확대하는 내용을 담았다. 취업난, 주거비 상승, 자산격차 확대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의 실질 체감도를 높이겠다는 것이다. 이 가운데는 청년들의 주거비 경감을 지원하기 위해 청년 월세지원 사업을계속 사업으로 전환하고, 지원대상의 단계적 확대를 추진한다는 내용도 들어있다.원래는 올해까지 한시사업으로 무주택·저소득 청년에게 최대 월 20만 원 월세를 지원할 방침이었다. 공공분양주택 적극 공급, 청년층 선호지역에 공공임대주택 공급 지속 확대, 청년 눈높이에 맞는 공공임대 품질·서비스 향상 등도 포함돼 있다.
이재명 대통령도 1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면서 “청년들의 고통과 불안을 덜고 미래의 희망을 키우는 든든한 정부”가 되겠다고 밝혔다. 현재 청년들이 겪는 어려움을 풀기 위해서는 “청년 주거 문제와 일자리 문제에 대해 ‘월세지원확대’와 ‘일자리첫걸음보장제’ 같은 미시정책을 추진하면서 청년의 삶 전반을 포괄하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경기도는 ‘청년월세 한시 특별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정부·경기도·시군이 함께 부모와 별도로 거주하는 19~34세의 무주택 청년들에게 월 최대 20만원씩 최장 24개월간 월세를 지원한다. 청년가구는 중위소득 60% 이하이고, 부모를 포함한 원가구는 중위소득 100% 이하가 대상이다. 이에 도는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사업 대상의 기준 연령을 기존 34세 이하에서 39세 이하로 확대하고, 소득기준을 완화하라고 정부에 건의한 바 있다.
대체로 생애 1회 혜택이 제공되는 일회성 사업인데다가 단순 전세·월세 지원 형태로 이뤄지고 있는 주거 정책사업은 청년 주거난 해결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관련기사: 경기신문 25일자 1면, ‘경기남부 1인 가구 절반이 청년… 주거난 해법 안 보인다’) 이에 도는 청년 주거 공급을 위해 전세·임대 지원사업과 임대주택 공급사업 등을 시행하고 있다. 경기주택도시공사는 청년 매입임대, 경기행복주택 등을 공급하고 있다. 낮은 임대료로 많게는 수년까지 거주가 보장된다. 그러나 공급이 한정적이다. 게다가 한국토지주택공사가 하반기 공공 전세임대 수시모집을 중단했다. 공사는 최근 청년 등의 전세·임대 물량을 대부분 공급했던 터여서 전세·임대 수요층의 걱정이 크다.
도 관계자는 “기존의 건설 물량에서도 특별 공급으로 신혼부부, 청년들을 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가의 현재이자 미래인 청년을 위한 진취적인 주거정책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