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미국 출장 일정 중 투자유치 100조 원을 달성했다.
28일 경기도에 따르면 김 지사는 27일(미국 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에서 글로벌 반도체기업 2개 사로부터 1640억 원대 투자유치를 이끌었다.
여기에 김 지사가 화성국제테마파크 사업과 관련해 5조 79억 원의 투자유치를 이뤄내면서 투자유치 총액만 100조 563억 원을 달성했다.
이는 김 지사가 공약한 ‘투자유치 100조+α’를 조기 달성한 것으로 직전에 김 지사가 이룬 투자유치 실적은 94조 8844억 원이다.
김 지사는 투자유치 공약을 달성하기 위해 지난 2022년 취임 직후부터 지금까지 지구 다섯 바퀴에 해당하는 20만 6695㎞를 오고 가며 해외일정을 소화했다.
그 결과 ▲국내외 글로벌기업 투자유치 31조 344억 원 ▲벤처창업 등 첨단산업 생태계 구축 40조 9995억 원 ▲테크노벨리 등 우수입지 조성 21조 5345억 원 ▲G펀드·국가 R&D공모 등 기술개발 6조 4879억 원 등의 투자 성과를 냈다.
또 도가 글로벌기업으로부터 제출받은 투자계획서에 따르면 기업 투자로 인해 7000개 일자리 창출, 27만 명의 고용유발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김 지사는 이날 보스턴에 있는 반도체 기업인 엑셀리스 본사에서 엑셀리스 러셀 로우 CEO, 제임스 쿠건 CFO, 로버트 마호니 수석부사장 등과 회담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엑셀리스는 이온주입 장비 생산을 확대하고자 평택 현곡 외투산단에 대규모 투자를 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엑셀리스가 아시아 거점으로 경기지역을 택한 것으로 이는 미·중간 무역규제의 영향을 덜 받는 지역을 전략적으로 선택한 결과로 보인다.
앞서 도는 투자유치를 따내기 위해 부지 임대와 각종 인허가 등의 행정적 지원을 약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러셀 로우 CEO는 “도를 혁신산업의 허브이자 중심지로 만든 김 지사의 리더십을 존경한다”며 “김 지사의 이번 방문은 더 나은 미래를 위한 협력 의지의 상징”이라고 화답했다.
김 지사는 “초격차 기술을 이용한 이온주입 장비 생산의 독보적인 기업 엑셀리스가 아시아 거점으로 다른 나라보다 도에 투자 의사를 밝혀줘 감사하다며 “평택 투자가 아시아 지역 수출 확대에 도움이 되도록 도가 최선을 다해 도울 것을 약속드린다”고 했다.
또 김 지사는 글로벌기업 인테그리스사와 화성·평택 등에 위치한 기존 몰리브덴 제조시설을 증축하는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도와 인테그리스는 이번 협약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몰리브덴 생산·공급시설을 갖추게 됐다.
김 지사는 이에 대해 “이번 미래지향적인 투자로 도는 글로벌 공급망을 선도하고 차세대 반도체 기술혁신의 전진기지로 나아갈 동력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28일(미국 현지시간) 김 지사는 마리 막스 파라마운트 수석 부문장, 이임용 신세계프라퍼티 CSR상무 등과 만나 화성 국제테마파크 조성을 위한 개발계획을 논의할 예정이다.
앞서 도는 지난해 10월 화성국제테마파크 글로벌 브랜드 유치 선포식을 열고 ‘화성국제테마파크’의 글로벌 브랜드 파트너로 파라마운트가 결정됐음을 공식 발표한 바 있다.
㈜신세계화성(신세계프라퍼티+신세계건설)은 파라마운트가 보유한 브랜드·캐릭터를 도입해 화성시 남양읍 송산그린시티 내 약 4.23㎢ 규모의 테마파크를 내년 하반기 착공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테마파크는 오는 2030년 1차 개장 이후 20년간 단계적으로 개발될 예정이다.
도는 파라마운트, 신세계 간 협력을 통해 당초 4조 5000억 원이 투입될 계획이었던 사업비를 9조 5000억 원 규모로 늘릴 수 있었다.
[ 경기신문 = 나규항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