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1.9℃
  • 구름조금강릉 8.7℃
  • 흐림서울 3.7℃
  • 구름많음대전 4.3℃
  • 구름많음대구 10.1℃
  • 연무울산 10.7℃
  • 맑음광주 9.0℃
  • 연무부산 13.1℃
  • 구름조금고창 8.2℃
  • 구름많음제주 14.0℃
  • 구름많음강화 2.7℃
  • 맑음보은 4.6℃
  • 흐림금산 5.8℃
  • 맑음강진군 10.1℃
  • 구름조금경주시 10.7℃
  • 맑음거제 8.6℃
기상청 제공

[생활에세이] 나무도 보고 숲도 보고

 

‘산은 강을 낳고, 강은 숲을 가꾼다.’ 산과 강, 강과 숲. 거기에 공기가 있어 내가 산소를 호흡하며 살아갈 수 있다는 생각으로 강 가운데의 섬 같은 산을 하염 없이 바라보았다.

 

모든 걸 잃어버린 사람에게는 인간의 체온이 종교라는 어느 시인의 생각에 잠겨 있을 때, 예고 없이 찾아온 친구 차를 타고 진안고원 ‘용담호’에서 나는 한동안 언어를 잊고 호수를 바라보고 있었다. 왜 사는지를 모르면 그날그날 아무렇게나 살게 된다는 생각과 함께.

 

1971년 일이다. 대전고등학교 김영덕 교감선생님으로부터 그의 저서 '나무도 보고 숲도 보고'라는 수필집을 받았다. 책을 호롱불 심지 돋워가며 읽었다. 곧바로 감상문을 써 보내드리며 나도 수필을 공부하며 쓰고 있다고 했다. 그분은 써 논 글을 한 편 보내달라고 했다. 나는 농사일로 고생하시던 어머니가 좌골신경통으로 허리 다리의 통증을 방바닥을 치며 호소하는데, 소낙비로 인한 빗물은 온 마당을 넘실대고 있는 안타까움을 작품화한 수필을 우편으로 보냈다. 선생님은 나를 초대하였고 나는 처음으로 대전고등학교를 찾아가 인사드리고 하룻밤을 보낸 뒤 돌아왔다. 수필 공부로 맺은 첫 인연이요 은인이었다.

 

그분의 책을 읽고 보이지 않는 나무의 뿌리를 볼 수 있었다. 꽃씨 또한 뿌리의 결실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세상 모든 게 눈에 보이는 것만이 다는 아니라는 생각도 들었다. 발바닥이 두꺼운 이유는 인생의 가시밭길을 걸어가기 위해서란 생각도 하게 되었다. 그동안 나이에 매이지 않고 열심히 걸었다. 내가 가야 할 길은 문학적 수필의 길이라고 발바닥 힘을 빌려 걷고 또 걸었다.

 

독서는 직관을 발달시키고 직관은 독서를 효과적으로 만든다고 했다. 그동안 책은 겸손한 사람으로서 공부하다 갈 것이라는 데 있어 나의 길잡이가 되어 주었다. 때로는 피곤이 나비처럼 다가오고 후회는 벌처럼 쏘아대기도 했다.

 

그런 어느 날, 원로 배우 신구 씨가 예능프로그램에서 인생을 돌아보며 꺼낸 말이 곧 나의 말이었다. “다양하게 살았으면 좋았을 텐데, 취미가 별로 없다면서, 즐기며 살았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했다. 많은 은퇴자들의 의견도 같을 것이다. 나도 그중 한 사람으로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하지만 그럴 때마다 누구를 위해서가 아니라 나를 위해 내 마음에 맞는 꽃을 피우기 위한 길 아니었던가! 하고 자위한다.

 

그래 ‘나무도 보고 숲도 보자’ 하면서 나무는 나요, 숲은 우리들이다. 그동안 가장이었던 나는 나무였고, 가족은 숲이었다. 가족이 숲이요 이웃이 숲인 것을 크게 생각하지 못했다. 인생이란 게 내 곁에 꽃병이 있었으면, 약병이 놓이고, 혈압약과 영양제가 있었다면, 치약과 구두약도 있었던 것을. 깊이 생각해보지 못했다.

 

내게 있어 책은 영혼의 솔 메이트(Soul Mate)요, 책장을 넘길 때 코끝에 닿는 냄새는 잊을 수 없는 운명의 냄새였다. 책을 읽으며 책과 함께 살아가면서 나무도 보고 숲도 보아야겠다. 지식은 나무요 지혜는 숲이라는 생각으로-. 결혼행진곡이 연주될 때 개그맨 고(故) 전유성 씨가 유언으로 남겨 묘비명이 된 “웃지 마 너도 곧 와”라는 의미도 나무와 숲이라는 차원에서 생각해 보면서.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