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는 내년도 예산안을 1조 8640억 원 규모로 편성해 18일 안양시의회에 제출했다.
이는 올해 본예산 1조 7593억 원보다 1047억 원(5.95%) 증가한 수치다.
회계별로는 일반회계가 전년 대비 1096억 원(7.1%) 오른 1조 6542억 원, 특별회계는 49억 원(2.3%) 감소한 2098억 원 규모로 편성됐다.
분야별로는 첨단·미래도시 조성을 위해 ▲동탄~인덕원 복선전철 건설(480억 원) ▲월곶~판교 복선전철 건설(360억 원) ▲스마트도시통합센터 운영(21억 원) ▲교통정보시스템 운영(19억 원) 등을 편성했다.
청년특별도시를 만들기 위한 사업으로는 ▲청년기본소득(40억 원) ▲청년 전·월세 지원(22억 원) ▲안양청년1번가·범계역 청년공간 운영(6억6000만 원) ▲청년 이사비 지원(1억 원) 등을 반영했다.
또, 경제중심도시 조성을 위해 ▲농수산물도매시장 청과동 복구(143억 원) ▲지역화폐 발행지원(43억 원) ▲중소기업육성자금 융자지원 이자차액 보전 지원(33억 원) ▲중소기업·소상공인 특례보증(25억 원) 등을 지원한다.
그리고 교육·복지도시 조성을 위해 ▲영유아보육료 지원(719억 원) ▲부모급여 지원(498억 원) ▲학교급식 경비 지원(192억 원) ▲국가유공자 보훈명예수당(91억 원) ▲첫만남이용권 지원(83억 원) ▲출산지원금 지원(80억 원) 등을 지원한다.
문화·녹색도시를 만들기 위해 ▲전기자동차 보급 사업(145억 원) ▲평촌도서관 건립(86억 원) ▲안양시 지방정원 조성(57억 원) ▲운행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사업(28억 원) 등을 추진한다.
시 관계자는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 ‘각종 업무추진비 동결’, ‘행사·축제성 경비 동결’, ‘공공기관·협력기관 운영비 인상 억제’, ‘국내 여비 5% 감액’ 등 강도 높은 세출 구조조정을 통해 재원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최대호 안양시장은 “국도비 보조사업의 증가와 경기침체로 인한 세수 확보 요인 감소로 재정운영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시정 핵심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에 중점을 두고 꼭 필요한 예산만 편성했다”고 말했다.
한편, 2026년도 예산안은 오는 20일부터 내달 19일까지 열리는 제307회 시의회 제2차 정례회에서 심의·의결될 예정이다.
[ 경기신문 = 송경식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