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통장 가입자 수가 한 달 사이 3만 명 넘게 줄며 하락세가 다시 뚜렷해지고 있다. 고분양가와 높은 가점 경쟁에 이어 대출 규제까지 한꺼번에 겹치면서 청약 시장에서 이탈하는 가입자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1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청약통장 가입자는 2631만 2993명으로 집계됐다. 전월보다 3만 6941명 감소한 수치로, 올해 들어 월별 기준 가장 적다.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집값이 급등했던 지난 2022년 6월 2859만 9279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올해 2월까지 지속적으로 줄었다. 3월과 8월에 잠시 반등했지만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가입자 감소의 가장 큰 이유로는 높아진 분양가와 과열된 가점 경쟁이 꼽힌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최근 1년간 전국 민간아파트의 ㎡당 평균 분양가가 605만 2000원으로 전년 대비 5.1% 상승했다. 서울은 1422만 6000원에 달한다.
가점 인플레도 심각하다. 올해 서울 일부 단지에서는 4인 가족 만점(69점)을 받고도 탈락하는 사례가 속출했다.
특히 분양가 상한제 단지로 631.6대 1 경쟁률을 기록한 송파구 ‘잠실르엘’의 전용 74㎡ 당첨 최저 가점은 74점이었다. 올해 서울에서 84점 만점 통장이 접수된 것도 이 단지다.
여기에 6·27 대책과 10·15 대책을 통해 대출 규제가 강화된 점도 자금 마련 부담을 키웠다. 분양가가 높아질수록 대출 가능 금액은 줄어드는 구조다. 15억 원 초과 주택은 4억 원, 25억 원 초과 주택은 2억 원까지만 대출이 되면서 청약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이다.
분양 관계자는 "분양가와 대출 규제가 동시에 높아지면서 청약 시장은 ‘진입 장벽’이 더 높아진 상황"이라며 "단순히 청약 열기가 식었다기보다, 자금 여력과 가점 수준에 따라 수요층이 뚜렷하게 재편되는 국면에 들어섰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