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9 (수)

  • 맑음동두천 7.1℃
  • 맑음강릉 11.3℃
  • 맑음서울 8.5℃
  • 구름조금대전 9.3℃
  • 맑음대구 10.2℃
  • 맑음울산 10.2℃
  • 구름조금광주 9.6℃
  • 맑음부산 11.6℃
  • 구름많음고창 8.4℃
  • 구름많음제주 11.2℃
  • 맑음강화 6.4℃
  • 맑음보은 7.5℃
  • 맑음금산 8.9℃
  • 구름조금강진군 10.2℃
  • 맑음경주시 10.2℃
  • 맑음거제 9.5℃
기상청 제공

국내 중소기업 절반 “외국인 근로자 도입 늘려야”

일손 부족 심각, 단순 비용 절감 아닌 현실적 선택

 

국내 300인 미만 중소기업의 절반가량이 내년 고용허가제(E‑9) 외국인 근로자 도입 규모를 올해(13만 명)보다 확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최근 제조·건설·서비스업체 312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45.2%가 확대 필요성을 답했으며, 올해 수준 유지 의견은 43.6%, 축소 필요 의견은 8.3%였다.

 

업종별로는 제조업과 건설업에서 확대 응답이 각각 46.0%, 48.0%로 높았고, 서비스업에서는 유지 의견이 52.8%로 가장 많았다.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는 이유로는 ‘내국인 구인의 어려움’이 61.5%로 가장 많았고, 이어 상대적으로 낮은 인건비(21.5%), 낮은 이직률(7.7%), 2년 초과 고용 가능(2.9%) 순이었다.

 

‘내국인 구인의 어려움’은 2023년 92.7%에서 2024년 34.5%로 낮아졌다가 올해 61.5%로 다시 증가했다. 경총은 “외국인 근로자 활용은 단순한 비용 절감이 아닌 실제 일손 부족 때문이라는 현실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기업들은 외국인 근로자 고용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도 겪고 있다. 실무적 문제로는 의사소통(50.3%), 직접 인건비 부담(32.7%), 간접 인건비(31.1%), 문화적 차이 등 부적응(26.9%)이 꼽혔다. 

 

제도적 문제로는 짧은 체류 허용 기간(47.4%), 복잡한 채용 절차(36.9%), 잦은 제도 변화(26.9%), 사업장별 고용 허용 인원 제한(26.6%)이 지적됐다.

 

정책 과제로는 경기 상황에 맞춘 유연한 외국인력 공급(46.2%), 체류 기간 유연화(38.1%), 도입 규모 확대(26.6%)가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김선애 경총 고용정책팀장은 “외국인 근로자는 이미 산업 현장의 필수 인력으로 자리 잡았다”며 “현장 수요에 맞춘 유연한 공급 체계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강혜림 수습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