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노선과 적자노선을 가리지 않는 버스 전노선 입찰제가 실시된다.
경기도는 공영화사업 시범도시로 선정된 성남시와 김포시에 대한 연구용역이 지난 5월 완료돼 노선운행에 필요한 총운송원가를 입찰에 부쳐 총운송원가가 낮은 업체를 선정하는 ‘총비용 입찰제’를 2개 시에 대해 전면 실시키로 했다.
29일 조청식 경기도 대중교통과장은 “경기도 버스노선에 대한 공영화원칙에 따라 총비용 입찰제를 실시해 수익성위주로 운영되는 불합리한 노선체계를 개선하고 적자노선의 안정적 운행을 통해 도민의 버스이용 편의성을 확보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도는 이를 위해 지난 2004년 9월 성남시와 김포시를 시범도시로 선정해 버스재정지원금과 유류보조금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공영화 사업예산을 검증한 결과, 성남시 4억원, 김포시 2억원 등이 추가 소요될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서울시의 표준운송원가 및 경기도내 타 업체의 운송원가 검토를 통해 산정된 금액을 기준으로 향후 경기도 전체 업체에 대한 실사를 거친 후 이를 반영, 최종 운송원가를 결정할 예정이다.
도는 사업추진에 문제점이 없을 경우 경기도내 전 버스노선에 ‘총비용 입찰제’를 실시할 계획으로 입찰회사의 ▲서비스계획 ▲운송원가 수준 ▲운송원가 절감방안 ▲업체 경영실태 등에 대한 종합검토를 거쳐 운송업체를 결정케 된다.
조 과장은 “적격 업체로 선정된 버스업체의 도덕적 해이를 막기 위해 버스운행관리시스템(BMS)를 통해 객관적인 자료를 수집해 인센티브를 주거나 패널티를 부과하는 적극적인 운영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