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접경지역인 경기북부를 찾은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들은 대북 기조에 있어 서로 뚜렷한 차이를 드러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북한을 ‘관리 대상’으로 규정하는 반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통일 대통령이 될 것”이라며 깜짝 공약을 했다.
김문수 후보는 21일 경기북부 유세 첫 장소로 고양시 화정역 문화광장을 찾아 고양지역의 규제완화·개발사업 등을 약속했다.
특히 “고양이 통일의 꿈을 가지고 있다”, “남북이 잘 교류하고 마침내는 통일로 갈 수 (있다)”며 고양시민들에게 남북통일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김 후보는 남북통일이 이뤄질 경우 고양에서 한강을 통해 북한 등을 통하는 뱃길을 이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강으로 접근해서 김포, 개성, 임진각을 통할 수 있다”면서 “그런데 한강은 막혀있다. 통일을 바라는 시민들의 꿈이 이뤄지도록 통일 대통령이 되도록 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후보는 고양에 이어 방문한 김포에서도 “전 김포 문수산에 자주 온다. 문수산에서 북한이 보이는데, 북한의 깜깜한 현실을 보면서 언제 통일이 되나 (생각한다)”며 통일은 거론했다.
김 후보는 경기북부 교통 현안에 대해 언급하던 중 “(통일이 되면) 이곳에서 북한으로 가는 고속도로가 다니겠지만, 통일이 되기 전 빠르게 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말하기도 했다.
다만 김 후보는 이날 구체적인 대북정책을 밝히지는 않았다.

이재명 후보의 경우 일각에서 제기되는 ‘북한 퍼주기’ 비판을 반박하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 후보는 지난 20일 파주 유세에서 “북한과 관계를 잘 관리해야 한다. 북한이 예뻐서가 아니다”라며 “(북한에게) 뭘 좀 잘하려고 그러면 ‘퍼주려고 그러지’라고 하는데, 퍼주긴 뭘 퍼주나”라고 말했다.
이는 지난 진보정부의 대북 지원에 대한 논란과 비판을 의식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이어 이 후보는 “강력한 국방 군사력과 국력, 한미 동맹으로 단단하게 지키되 싸울 필요가 없도록 대화·설득하고 우리가 10개를 주고 100개를 얻을 수 있으면 10개를 줘야 되는데, 왜 10개를 퍼주냐는 바보들이 있다”며 “이건 국민과 국가를 위한 행동이 아니다”라고 부연했다.
그는 앞서 고양 유세에서도 “경기북부가 휴전선에 근접해 있다는 이유로 온갖 규제를 당하고 있다. 이것을 완화하고, 평화 체제도 구축하고, 북한과 대화도 하고, 휴전선이 안전해지도록 해야 하지 않겠나”라며 “평화가 곧 경제”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이 후보가 김 후보와 달리 대북정책에 있어 신중한 태도를 이어갈 것이라고 분석한다.
이런 태도는 발언에 의한 논란을 방지하기 위한 포석이라고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최진 대통령리더십연구원장은 “이 후보가 친북정책을 내놓는 순간, 정치적 논란으로 비화돼 국민의힘이 공격할 빌미를 줄 수 있다”며 “계엄 심판론이 강한 상황에서 대선을 뒤흔들만한 이슈가 나올 가능성이 적다. 그래서 이 후보도 이슈몰이를 하지 않는 것”이라고 했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김 후보의 통일 발언은 60대 이상 지지층을 결집하기 위한 정책일 수 있다”며 “이 후보는 친중 논란과 남북 관계에 대한 논란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 관련 공약을 내지 않고 있고 스스로도 발언을 줄이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 경기신문 = 나규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