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사회 숙원이 해결된 것인가, 아니면 고양이에게 생선가게를 맡긴 것인가”
부천시가 공무원 정원기준을 적용받지 않는 ‘총액 인건비제 전국 시범기관’으로 선정되면서 공무원을 95명 증원하자 논란을 빚고 있다.
부천시는 최근 4급(지방서기관) 1명, 5급(사무관) 6명, 6급(주사) 24명, 7급(주사보) 24명, 8급(서기) 27명, 9급(서기보) 11명, 기능직 2명 등 95명을 증원하는 조직개편안을 시의회의 의결을 받았다.
직제도 ‘5국 1사업소 2실 34과’에서 ‘7국 2실 34과’로 확대 개편됐고 인건비도 35억원이 늘어난다.
이는 지난 2월 부천시가 총액인건비제 시범기관으로 선정되면서 인구수를 기준으로 공무원의 인원과 조직을 한정한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 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 벗어났기에 가능했다.
이에 일부에서는 “경기침체로 부천시민들이 겪는 어려움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공무원 숫자만 늘리느냐”며 ‘고양이에게 생선가게를 맡긴 꼴’이라는 비난이 일고 있다.
이같은 비난은 직제확대를 의결한 부천시의회에도 쏟아지고 있어 부천시와 부천시의회가 모두 곤혹스러워 하고 있다.
부천시는 이에 “갈수록 증대하고 있는 시민들의 행정서비스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공무원 증원은 필요하다”며 “증원을 해도 공무원 1인당 주민수는 406명으로 전국 평균인 153명이나 경기도 평균인 340명에도 못미치는 수준”이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