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공장건축총량규제 대상에서 제외되는 아파트형공장에 입주물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반면 경기도내 아파트형공장의 민간공급비율과 임대대비 분양비율이 높아 중소·영세기업 입주에 장애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3일 도에 따르면 도내 기 준공된 83개 아파트형공장에 5천114개 업체가 입주, 공장 평균 61.6개 업체가 가동 중이다.
또 현재 건축 중인 40개 아파트형공장에는 4천175개 업체가 입주, 공장 평균 104.4개 업체가 들어설 예정이다.
시·군별로는 성남시에 24개 아파트형공장이 가동 중이거나 건축 중으로, 부천시(21개), 안양시(17개), 군포시(16개), 수원시(10개), 의왕시(9개) 등이 아파트형공장 설립을 주도하고 있다.
또 최근 안산시, 시흥시, 오산시 등에서 아파트형공장 건축이 늘어나는 추세다.
한편 산자부에 따르면 2004년 6월 기준 도내 아파트형공장의 민간공급비율은 94.6%로 전국평균(86.9%)은 물론 서울(90.8%)에 비해서도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분양비율도 88.2%로 전국평균(85.4%), 서울(87.4)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공장건축총량규제 대상에서 제외되는 데다 수도권지역내 과밀억제권역 및 자연보전지역에서 규제없이 설립이 가능하다는 이점에도 불구하고 아파트형공장의 높은 분양가가 영세중소기업 입주를 가로막고 있다는 지적이다.
경기개발연구원 김군수 박사는 "아파트형공장의 대형화·고층화와 최근 안양, 부천, 수원, 성남지역의 평당토지가격 급등으로 아파트형공장의 분양가가 높아졌다"며 "지역 특수성을 고려해 용적률을 상향조정해 평당분양가를 낮추고, 최초입주기업에게만 주는 취득세·등록세 면제 등 혜택을 재취득자에게도 주도록 법개정이 요구된다"고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김 박사는 또 "높은 분양가로 인해 무등록공장의 아파트형공장 입주비율이 극히 낮다"며 "개별공장의 집단화효과를 거두기 위해 공공부문이 나서 임대후분양 또는 임대 아파트형공장을 보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도의회 이찬열(한나라당·수원) 의원도 "공급자 위주의 아파트형공장 공급정책 결과 건설사들이 초기투자비를 조기 회수할 수 있는 일반분양을 선호해 왔고, 지난 2001∼2002년에 비해 분양가가 2배 가까이 올랐다"며 "향후 아파트형 공장 설립자격에 적절한 규제가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