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나이 마흔여덟은 한창 때이다. 젊은 시절에 부지런히 일한 결실을 거두는 시기가 쉰 살쯤일 텐데, 이를 앞두고 있는 사내들은 어느 정도의 명예와 경제적 안정을 거두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그렇지 못했다. 그늘진 그의 얼굴에서 알 수 없는 눈물들이 그려지고 있는 것을 발견하면서 내 하루는 언제부터인지 그에게 관심을 끌게 했었다. 회사의 구조조정으로 하루아침에 거리에 나앉게 된 그는 공공근로사업을 하면서 생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경비원에 배치된 그는 날마다 밤을 꼬박 지새우며 순찰을 돌았다. 젊은 사람들에게도 고된 일이었지만 그는 그 누구보다 열심이었다. 쉰 줄에 접어든 그가 젊은이들 사이에서 일하는 모습은 낯설면서도 묘한 감정을 불러일으켰다. 젊은이들보다 일처리에 서툴기는 하지만, 회사에서 잘나가던 때와 지금의 처지는 남루하기 이를 데 없지만 자신의 일에 충실하고 있다는 점에서 존경심마저 불러일으켰다. 말이 별로 없는 그는 웃음도 말수만큼이나 아꼈다. 회사에서 구조조정으로 내밀려 지금 이 자리에 있다는 사연 외에는 그의 개인사에 대해 이런저런 이야기를 들을 수 없었다. 하지만 굳게 다문 그의 입 속에는 명예퇴직 외에 또 다른 깊은 슬픔이 숨겨진 듯했다
추심치복(推心置腹)이란 말도 있다. 내 심장을 남의 뱃속에 넣어둔다는 말로, 남을 믿고 성의를 가지고 교제함을 비유한 것이다. 옛말에 출호이자반호이(出乎爾者反乎爾)라는 말이 있다. 이쪽에서 마음을 터놓고 손을 내밀어보니 상대방도 은연중에 그 손을 잡아버리게 된다는 뜻이다. 그리하여 흉금을 터놓고 기탄없이 대화를 나누다보면 생각밖의 우정이 싹트게 되고, 거북스런 거부감도 먹구름 걷히듯 한다는 것. 고대의 계급사회에서는 상당히 어려운 일이었다. 고관대작들은 자기만의 담을 쌓아 자기에게 이로움이 있을 때 나아가고, 그렇지 않으면 주춤대는 허세를 부렸으며, 불리해지면 온갖 추태를 부리기도 하였다. 때문에 흉금을 열어 놓을 수 있는 인간미는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었다. 시인 김삿갓은 길을 가다가 나무꾼 백수건달(白手乾達)을 만나게 되었는데 주막에 들어가 술잔을 나누는 사이에 서로의 흉금을 털어 놓은 사이가 되었다. 그와 헤어지고 난후 회자정리(會者定離)라 외쳐댔다. 즉, 만나면 헤어지는 것이 인간사 이치이니 어찌 할 것이냐며 시 한 수를 남겨놓았다. “오늘 아침 한번 헤어지면 어디서 다시 만날 수 있으리(今朝一別後 何處更相逢).” 참으로 인간미 넘치는 장면이다. 분신
한국사회에서 자신의 정치적 색깔을 드러내는 것은 유명 연예인이 동성애자임을 밝히는 ‘커밍아웃(coming out)’보다 힘들다. 자비(慈悲)로 유명한 스님도, 사랑을 실천하는 목사님도, 삶의 큰 족적을 남긴 오피니언 리더도 자신이 어느 정파를 지지한다고 선언하는 순간 만신창이가 된다. 사회적 존경을 받던 이들의 SNS나 인터넷 홈페이지는 곧장 욕설로 도배되기 일쑤다. 바로 직전까지 자신들에 대한 지지의사를 이끌어내려 온갖 노력을 다하던 정당이나 정치인들은 그를 적으로 간주하고 어떤 권위도 인정하려들지 않는다. 이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네 필부들의 삶도 다르지 않다. 언제부턴가 동창회, 친목회 등 모임에서의 정치적 발언은 곧바로 사회적 매장으로 이어지는 분위기다. 공개된 장소에서 정치적 커밍아웃을 선언하는 순간, 모임 참석자 중 절반은 그에게 등을 돌리고, 그가 참석하는 모임에는 절대 참석하지 않을 것임을 외친다. 그러니 특정 후보가 당선되면 “이민가겠다”는 말이 농담처럼 들리지 않는다. 운전대를 잡으면 난폭해지는 운전습관처럼 컴퓨터 앞에만 앉으면 정치적 대척점에 선 후보나 그룹에 대해 포악한 언어로 쑥대밭을 만든다. SNS에 어느 후보를 이런 이유에서 지지한다
반부패 비정부단체인 국제투명성기구가 지난 5일 발표한 한국의 청렴 수준은 176개국 중에서 45위다. 2010년 39위에서 2011년 43위로 떨어진 데 이어 더 밀려났다. 100점을 기준으로는 56점이다. 최근 2년(54점)보다 약간 개선되긴 했으나 역시 낙제점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34개국) 중에서도 27위로 하위권에 맴돌고 있다. 전통적 청렴 선진국들인 덴마크 핀란드 뉴질랜드 등은 거의 매년 1위로 90점이 넘는다. 이들 국가의 소득 수준은 4만~5만 달러에 이른다. 경제 강국들을 보면 유럽의 경제엔진 독일(12위), 일본과 영국(14위), 미국(16위) 프랑스(18위) 등은 20위 이내에 포진해 있다. 이들 국가는 국민소득이 주로 3만 달러 이상이다. 점수는 70점이 족히 넘는다. 국민소득 2만 달러 한국이 3만 달러가 되려면 청렴도 점수 70점, 순위 20위 정도는 돼야 가능하다는 등식이 성립된다. 더 확대 해석하면 부패가 줄어들면 국민소득도 그만큼 높아진다는 얘기다. 국가청렴도가 낮은 이유를 굳이 설명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뇌물공화국’ ‘부패공화국’이란 지적에 대해 역대 어느 정권도
1971년 오늘 동독과 서독이 서베를린 통행협정을 체결했다. 분단 26년만의 일이다. 이 협정의 체결로 서독 국민들은 자유롭게 서베를린을 왕래할 수 있게 됐다.서(西)베를린은 지리적으로 당시 서독 본토로부터 동독의 영내로 170km나 깊숙이 들어간 곳에 있었다.
개헌안이 확정된 후 1년이 지난 1963년 오늘 오전 9시 15분 제6대 국회가 개원됨으로써 제3공화국 헌법이 발효됐다. 제6대 국회의 의장에는 공화당의 이효상 의원이 선출됐다. 민정 불참 선언을 번복하고 2달 여 전(10월 15일 대선실시) 제5대 대통령에 당선된 박정희 대통령 당선자도 국회개원식에 참석했다. 이어 오후 2시 중앙청 광장에서 박정희 제5대 대통령이 취임함으로써 제3공화국이 탄생했다.
1903년 오늘, 미국의 라이트 형제가 인류 최초로 동력비행기를 조종해 지속적인 비행에 성공했다. 25마력 동력기를 부착한 플라이어 1호는 이날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의 키티호크 해변에서 시행한 1차 비행에서 12초 동안 36m를 날았고, 2차에서 59초 동안 243.84m를 비행하는 데 성공했다.
팔다리는 물론 귀, 입, 턱까지 문드러진 돌부처 하나 길가에 홀로 서 있다 그러나 안쓰러워하지 말라 돌부처는 지금 본래 제 모습으로 하나씩 몸을 버리며 독경 중이시다 - 시산맥 2012 겨울호 모든 생명들과 사물들은 生滅의 과정을 거친다. 영원할 것 같은 단단한 돌부처도 마찬가지이다. ‘길가에 홀로 선’ 돌부처의 코와 입, 귀는 장구한 세월을 거치면서 마모되고 서서히 부처의 형태를 잃어버린다. 눈에 보이는 것은 아니지만 일그러진 코와 입을 보면 안쓰럽다. 그러나 시인은 ‘안쓰러워하지 말라’고 얘기한다. 모든 생명들과 사물들이 그러하듯 돌부처도 ‘본래 제 모습’이었던 먼지로 돌아가느라 ‘하나씩 몸을 버리는’ 중이다. 아니 경을 읽으며 수행을 하고 있다. 결국 쓸쓸하게 사라질 돌부처. 영원하진 않겠지만 그래도 오랜 시간을 견뎌줄 것 같은 우리의 생명도 한치 앞을 가늠할 수 없을 만큼 불안한 존재다. 먼지로 돌아간다. 그래서 허무하다. 수행은 소멸되는 자신의 고통을 견디는 방식이다.
“시골에 가서 농사나 지어야겠다.” “살기 힘든데 고향 내려가서 젖소나 키우며 살지 뭐.” 도시인들은 이런 소리를 쉽게 한다. 주로 사업에 실패를 하거나 해직을 당한 사람들, 그리고 앞으로 퇴직이 얼마 남지 않은 이들이 주로 하는 말이다. 그리고 실제로 귀농·귀촌 인구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가구는 6천500여 가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뿐만 아니라 2001년부터 2011년까지 농촌으로 이동한 인구가 12배나 급증했단다. 올해 상반기 귀농·귀촌 인구만 해도 8천706가구 1만7천745명에 달했다고 한다. 전기한바 있지만 귀농·귀촌을 원하는 사람들의 다수는 자영업에 실패하거나 퇴직했거나 도시생활에 지친 사람들이다. 물론 자연이 좋아서, 건강상의 이유로 도시탈출을 꿈꾸는 사람들도 있다. 보통 40세가 넘은 사람들이지만 20∼30대도 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농촌의 현실은 도시에서의 상상과는 많이 다르다. ㈔전국귀농운동본부 박용범 사무처장은 얼마 전 한 인터넷 뉴스매체와의 인터뷰에서 “귀농학교에서 수업을 받은 5천여 명 중 1천500명이 내려갔고 그 중 150여 명은 실패하고 올라왔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
본연의 임무에 충실한 의원들이 많기는 하지만 일부 지방의원들은 의원직을 대단한 벼슬 따위로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 관할 행정청 견제나 예산심의, 주민의견 수렴보다는 어깨에 힘주고 군림하려는 의원들이다. 심지어는 파렴치한 행위를 일삼아 주민들로부터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이는 끊임없이 지방의회 무용론을 떠올리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지난해로 풀뿌리 민주주의를 표방하며 지방자치제가 실시된 지 20년이 됐다. 20년 성년이 된 지방자치제에 점수를 매기라고 한다면 그다지 좋은 점수를 받기는 어려울 것 같다. 최근까지 일부 기초의원들의 추태와 비리 고발이 잇따르면서 기초의회의 위상은 추락했다. 지난해 1월 성남시의회의 한 의원은 전화로 민원을 제기하다 주민센터의 여직원이 자신의 이름을 잘 알아듣지 못한다며 직접 주민센터에 찾아가 행패를 부렸다. 사퇴여론에 그 지방의원은 4개월간 의정활동을 중단했지만 약 1천600만 원에 달하는 의정비는 고스란히 챙겼다. 의정부지방법원에 의해 징역 12년의 중형이 선고된 남양주시의회 전직 의원의 행태는 도저히 맨 정신으로 듣기조차 거북스러울 정도다. 기초의원의 지위를 이용해 수차례에 걸쳐 민원인으로부터 12억 원을 받았고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