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급식개선과 조례제정을 위한 경기도운동본부는 2일 경기도교육위원회가 '경기도 학교급식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조례안'을 최종 의결한 것에 대해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운동본부는 그러나 조례안에서 '우리 농산물'이 아닌 '우수 농산물'로 명시되거나 '직영급식을 위해 노력한다'는 권고조항 등 의무규정으로 정해지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유감을 표시했다. 이에따라 운동본부는 앞으로 있을 경기도의회의 조례 심의에서 조례안을 수정 통과시킬 것을 주장했다. 운동본부 관계자는 "이번 조례안 통과는 교육주체가 학교급식을 정상화할 수 있는 초보적인 방안을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크다"라며 "그러나 급식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의회 최종 의결에서 우리농산물의 명기와 직영급식의 확대 등 수정 통과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기지역의 학교와 학생, 교원수가 모두 전국 최대 규모이지만 학급당 학생수나 교원 1인당 학생수 등 교육환경은 전국 평균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경기도교육청이 발간.배포한 2004년도 경기교육통계연보(4월1일 기준)에 따르면 올해 도내 유치원.초.중.고교 전체 수는 지난해에 비해 58개 늘어난 3천472개교로 전국 1만8천970개교 가운데 최대인 18.3%를 차지했다. 학생수는 190만2천993명으로 전국의 22.7%를 차지했고 이 수치는 서울시교육청 학생수 156만5천856명보다 33만7천명이 더 많은 수치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숫자이다. 교원 역시 8만1천593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고 이 가운데 여교원의 비율이 매년 증가해 올해는 초.중.고 교원중 66.52%가 여교원이다. 이처럼 경기도의 교육규모는 전국 최대지만 이에대한 교육환경은 전국 평균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드러나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학급당 학생수는 초 38.26명, 중 38.86명, 고 34.31명으로 지난해 보다 감소했지만 여전히 전국평균인 초 32.85명, 중 35.09명, 고 32.69명에 비해 크게 열악했다. 또 교원 1인당 학생수도 초 30.42명
특목고와 달리 경기지역 특성화고 신입생 경쟁률은 지난해와 비교해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경기지역 9개 특성화고 원서접수 마감결과 전체 4천405명 모집에 1만2천983명이 지원, 2.93대1의 경쟁률을 보여 전년도 2.97대1과 비슷했다. 지난달 28일 원서접수를 끝낸 13개 특목고의 경우 3천505명 모집에 1만347명이 원서를 내 2.95대1의 경쟁률을 기록, 전년도 3.58대1에 크게 못미쳤었다. 한국애니메이션고(하남.100명 모집)의 경우 5.17대1의 최고경쟁률을 기록했지만 지난해 8.02대1의 경쟁률에는 못미쳤다. 반면 공립 대안학교인 경기대명고(수원.60명 모집)는 0.83대1로 미달을 기록했지만 전년도 0.22대1에 비해서는 괜찮은 경쟁률을 보였다.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 모임'(학사모ㆍ대표 고진광)은 교육인적자원부가 최근 발표한 `2008년도 이후 대입제도 개선안'이 평등권 및 교육 평등권을 침해했다며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을 냈다고 2일 밝혔다. 학사모는 심판 청구서에서 "새 대입안에 따르면 공부를 더 잘하는 학생이 취학에서 오히려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며 "이는 헌법 제31조의 `균등하게 교육받을 권리'와 제11조 평등권을 정면으로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새 대입안의 골자는 대학생 선발시 내신을 위주로 하고 수능을 참고로 한다는 것인데 고교의 내신 부풀리기와 고교간 학력격차 등으로 내신의 신뢰성과 공정성이 담보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기도교육청이 자녀의 졸업후에도 학부모가 일정기간 학교운영위원직을 유지토록 조례안을 개정키로 해 논란이 일고 있다. 도교육청은 1일 자녀가 졸업할 경우 학교운영위원(학부모위원)의 자격을 상실토록 한 현행 조례를 (다른 위원의) 임기만료일까지 유지하는 내용의 '학교운영위원회 설치.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졸업시즌이 2월 중순인 점을 감안하면 학교운영위원(임기 1년)의 임기만료일인 3월말까지 40여일간 학부모가 자녀의 모교일에 관여하는 것으로 내년초 교육감 선거가 예정된 점을 감안하면 문제가 있는 개정안이라는 지적이다. 이에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이번 조례 개정안은 일부 타 시.도교육청에서 이미 시행하는 것이고 학기초에 졸업생 학부모가 학교운영위에서 빠져 운영에 문제가 있어 개정안을 낸것 뿐"이라고 말했다.
경기도교육위원회가 발의한 조례안 제정을 스스로 유보시키는 등 그동안 논란을 빚어왔던 '경기도교육청 학교급식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조례안'이 결국 도교육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했다. 교육위원들이 학부모와 지역주민들의 의사를 반영해 교육위원 스스로 발의해서 운영조례를 제정하기는 이번이 전국 최초다. 도교육위원회는 1일 도교육위 최창의 위원 등 11명의 위원이 발의한 도교육청 학교급식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조례안 심사를 위해 소위원회를 열고 위탁급식의 직영 전환 확대 및 신설학교의 직영급식 확대 실시 등을 골자로 하는 조례안을 통과시켰다. 제 7조로 구성된 조례안의 주요 내용을 보면 각급 학교의 위탁급식의 직영 전환 및 학교 급식시설.설비의 개선과 위생관리를 강화하고 학교급식의 전담직원 정규직 배치와 급식종사자 적정인원을 유지토록 했다. 또 학교급식 직영화 확대를 위해 신설학교의 직영급식을 확대 실시하며 위탁급식학교의 직영전환을 위해 예산을 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학교운영위원회 산하에 학부모와 학생 대표 등이 참가하는 학교급식소위원회를 7~15인 이내로 구성해 경기도의 학교급식 지원에 따른 적정한 우수 농산물 사용 점검 및 식재료 검수와 급식 위생 점검을 벌이게 된다
경기도교육청은 1일 내년에 경기도내 유치원.초.중.고등학교와 특수학교 등 102개교가 신설되고 11개 학교의 교명이 변경된다는 내용의 '경기도립학교설치조례중개정조례안'을 경기도교육위원회에 제출했다. 조례안에 따르면 내년에 유치원 52원, 초 22개교, 중 19개교, 고 8개교, 특수학교 8개교 등 모두 102개교가 신설된다. 또 초 2개교, 중 4개교, 고 4개교, 유치원 1교 등 모두 11개교가 학교이미지 개선 및 남녀공학 전환과 우수학생 유치를 위해 교명을 변경한다. 교명변경학교는 다음과 같다. ▲일산은행초(구 식사초) ▲양도초(구 김포금정초) ▲수원제일중(수원여중) ▲동성중(동성여자중) ▲매홀중(구 오산여중) ▲양수중(구 국수중양수분교장) ▲지평고(지평종합고) ▲마장고(구 마장정보산업고) ▲백암고(구 백암종합고) ▲하성고(구 하성종합고) ▲양도초교병설유치원(구 김포금정초 병설유치원)
지난 2000년 11월25일부터 설치.운영돼 오던 경기도교육청의 교육정보화기획단이 부서 존속기간이 만료돼 해체되고 내년 1월1일부터 행정관리담당실과 과학산업교육과에서 업무를 대신 담당하게 된다. 1일 도교육청의 행정기구설치조례 개정안에 따르면 하드웨어 분야인 교육행정정보시스템 운영 및 전산장비관리는 행정관리담당관실에서 맡게되고, 소프트웨어 분야인 정보화교육지원 및 학교전산망 구축 업무는 과학산업교육과에서 맡게 된다. 이번에 해체되는 교육정보화기획단은 지난 4년간 경기도의 교육정보화를 위한 물적 기반 마련은 물론 각종 정보화사업을 수행해 일선 학교의 전산망 구축을 통한 교육행정 전산화와 정보화에 밑거름이 됐다는 평을 받고 있다.
경기도교육청은 31일 2005학년도 공립 중등학교 신규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시행요강을 발표했다. 과목별 모집인원은 ▲국어 149 ▲수학 152 ▲영어 133 ▲공통사회 96 ▲공통과학 79 ▲체육 71 ▲도덕.윤리 44 ▲미술 35 ▲음악 26 ▲한문 23 ▲가정 23 ▲기술 20 ▲일본어 18 ▲정보.컴퓨터 10 ▲역사 8 ▲일반사회 7 ▲지리 7 ▲중국어 7 ▲생물 7 ▲물리 6 ▲화학 6 ▲지구과학 6명 ▲특수 31 ▲보건 15 ▲사서 5 등 984명이다. 중등과 함께 초등 보건 30명과 사서 5명 등 35명의 초등교사도 함께 선발한다. 원서접수는 11월 8∼12일이며 12월 5일 필기시험, 내년 1월 17∼20일 실기와 면접시험을 거쳐 1월 31일 최종합격자를 발표한다.
교원 정년이 단축된 후 수년간 미달사태를 빚은 경기지역 초등교사 선발시험 경쟁률이 2.35대1을 기록했다. 31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내년도 초등교사 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1천100명을 모집하는 초등 일반교사에 2천580명이 지원했다. 1천734명을 모집한 지난해는 정원에 225명 미달하는 1천509명을 선발하는 데 그쳤다. 이밖에 초등 특수교사(77명 모집)는 4.6대1, 유치원 일반교사(160명) 10.3대1, 유치원 특수교사(9명) 4.8대1, 특수 치료교사(2명)는 10.5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