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아파트 거래량이 한 달 만에 1000건가량 급증하며 꽁꽁 얼어붙었던 거래가 조금씩 회복하고 있다. 특히 집값 내림세가 가팔랐던 지역에서 급매물 소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거래량이 늘었다. 15일 경기부동산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이날 기준 4000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달(3153건)보다 한 달 새 847건(26.8%) 급증한 수치로, 지난해 6월(4013건) 거래량 수준으로 회복했다. 거래 신고 기한이 30일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거래 건수가 변동될 여지가 남아있어 매매 거래량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경기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해 7월 2914건으로 급락한 이후 4개월 연속 2000건 대에 머물렀다. 이후 11월에는 3061건으로 회복했으나 지난해 최다치였던 4월(6642건)과 비교하면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올해 들어 거래량이 일정 부분 회복한 것은 집값이 크게 떨어지면서 매도자와 매수자 간의 간극이 좁혀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경기지역 아파트 매매가는 지난해 1월 다섯째 주 하락 전환한 이후 54주 연속 하락세가 이어지며 누적 기준 14.31% 떨어졌다. 지난해보다 아파트 가격이 내려가자 수요자들이
차기 수협중앙회장 선거가 이틀 앞으로 다가오며 금융권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수협중앙회는 오는 16일 오전 11시에 서울 송파구 본사에서 회장 선출을 위한 임시총회를 진행한다. 이날 총회에서 투표를 통해 제26대 수협중앙회장이 선출된다. 14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현재 입후보한 후보자는 김덕철 통영수협조합장, 김임권 전 수협중앙회장, 노동진 진해수협조합장 3명이다. 수협중앙회장은 전국 91명의 조합장과 현 중앙회장 1명의 투표로 진행된다. 선거는 투표자 수의 과반수 득표자를 당선인으로 결정하되, 과반수 득표자가 없다면 결선투표를 실시한다. 김덕철 후보자는 1955년생으로 경상대를 졸업하고 17대·18대 통영수협 조합장을 지냈다. 김임권 후보자는 1949년생으로 부산수산대(현 부경대)를 졸업하고 16대·17대 대형선망수협 조합장을 거쳐 24대 수협중앙회장을 지냈다. 수협중앙회장은 임기 4년의 단임 명예직으로, 연임이 불가하나 중임은 할 수 있다. 김임권 후보의 경우 24대 중앙회장을 지난 바 있으나 이번에 당선되는 경우 중임에 해당돼 출마가 가능했다. 노동진 후보자는 1954년생으로 창신대를 졸업하고 진해수협 조합장, 수협중앙회 비상임이사 등을 역임했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돌려주지 못한 전세보증금을 대신 갚아주는 전세반환보증 규모가 급격하게 늘고 있다. 정부가 오는 5월부터 전세보증금이 집값의 90% 넘는 주택은 보증보험 가입을 차단하기로 했지만, 집값 하락으로 올해 내내 '깡통주택'이 속출하면서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연간 대위변제액이 2조 원 안팎까지 치솟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13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HUG가 집주인 대신 세입자에게 돌려준 전세금은 지난달 1692억 원(769건)이었다. 지난해 1월(523억 원)과 비교해 1년 새 3.2배 급증했다. 보증보험에 가입한 주택은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경우 HUG가 대신 갚고 집주인에게 청구한다. 지난해 7월 564억원이었던 대위변제액은 8월 833억 원, 9월 951억 원, 10월 187억 원, 11월 1309억 원, 12월 1551억 원으로 6개월 연속 늘었다. 집값 하락에 따른 깡통전세와 '빌라왕'들의 전세사기로 작년 한 해 동안 HUG는 9241억 원을 대신 갚아줬다. 2021년보다 83% 급증했다. 신축 빌라 가격을 부풀린 뒤 전세보증금을 높게 받아 주택을 수백·수천 채 사들인 전세사기꾼은 이익을 취하고,
윤석열 정부의 첫 공공분양주택인 '뉴:홈'의 사전청약 특별공급 경쟁률이 평균 11대 1을 기록했다. 이번에 처음 도입한 미혼 청년 특별공급 경쟁률은 50대 1을 넘어서기도 하며 큰 관심을 끌었다. 국토교통부는 '뉴:홈'의 첫 사전청약 공급지인 고양창릉·양정역세권·남양주진접2에서 특별공급 청약 신청을 받은 결과 1381호 공급에 총 1만 5353명이 신청했다고 12일 밝혔다. 평균 경쟁률은 11.1대 1을 기록했다. 나눔형 12.8대 1, 일반형 3.4대 1로 나눔형의 경쟁이 치열했다. 나눔형 중에서는 이번에 처음으로 도입된 청년 특별공급이 36.5대 1의 경쟁률을 보이며 신혼부부 7.2대 1, 생애최초 7.8대 1 대비 높았다. 지역별로는 고양창릉의 경쟁률이 17.7대 1로 가장 높았다. 유형별로 청년 52.5대 1, 신혼부부 9.7대 1, 생애최초 10.2대 1 등이다. 청년은 전용 59㎡가 64대 1로 가장 인기가 좋았고 신혼부부와 생애최초는 전용 84㎡를 선호했다. 양정역세권은 평균 5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청년 11.3대 1, 신혼부부 3.3대 1, 생애최초 4.1대 1등이다. 면적별로는 전용 84㎡가 6.7대 1로 가장 높았다. 일반형으로 공급된
2월 셋째 주에는 '뉴:홈' 일반공급 사전청약을 포함해 전국 7개 단지에서 총 5582가구(일반분양 3876가구)가 분양을 시작한다. 주요 단지는 ▲경기 수원시 팔달구 지동 '수원성중흥S-클래스' ▲인천 미추홀구 주안동 '더샵아르테' ▲충북 청주시 흥덕구 복대동 '복대자이더스카이' 등에서 청약을 진행한다. 견본주택은 서울 강동구 길동 '강동역SK리더스뷰' 한 곳에서 개관 예정이다. 도내에서는 중흥토건이 경기 수원시 팔달구 지동 349-1번지 일대에 수원성중흥S-클래스를 분양한다. 지하 3층~지상 최고 15층, 32개동, 총 1154가구 규모다. 이 중 전용면적 49~106㎡, 593가구가 일반분양으로 공급된다. 이 단지는 지하철 1호선, 수인분당선, KTX가 지나는 수원역을 이용할 수 있고 1번, 42번 국도를 통한 차량 이동이 수월하다. 단지 주변에 못골시장, 팔달문시장을 비롯해 관공서와 의료시설 등 생활편의시설이 풍부하다. 수원천 산책로, 팔달공원, 수원화성둘레길 등 녹지공간도 잘 갖춰져 있다. 포스코건설은 인천에서 지하 2층~지상 최고 29층, 10개동, 총 1146가구 규모의 더샵아르테를 분양한다. 전용면적 39㎡~84㎡ 770가구가 일반분양 대상이다
[부고]이승은(IBK기업은행 홍보부장)씨 부친상 ▲이정이씨 별세, 이승호·이승은(IBK기업은행 홍보부장)·이승자씨 부친상, 김미숙·김경희씨 시부상, 이정한씨 빙부상=10일 오후 1시20분, 한양대학교병원 장례식장 7호실, 발인 12일 낮 12시, 장지 광릉추모공원 [ 경기신문 = 백성진 기자 ]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로 연체율이 상승하며 금융권에 '경고등'이 켜졌다. 특히 증권사 연체율은 8%대에 달하며 부동산 PF 부실이 금융권으로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9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에 보고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국내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잔액은 125조 3000억 원으로 2021년 말(110조 2000억 원)보다 15조 1000억 원 늘었다. 2020년 말 90조 3000억 원과 비교하면 35조 원 급증했다. 업권별로는 ▲보험 44조 1000억 원(35.2%) ▲은행 34조 1000억 원(27.2%) ▲여신전문금융회사 27조 1000억 원(21.6%) ▲저축은행 10조 7000억 원(8.5%) ▲상호금융 4조 8000억 원(3.8%) ▲증권 4조 5000억 원(3.6%) 순이다. 부동산 PF 대출 규모가 급증한 가운데 연체율도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증권사 연체율은 지난해 9월 말 기준 8.2%로 2021년 말(3.7%)보다 4.5%포인트 상승했다. 2019년 말(1.3%)보다 6배 넘게 오른 것이다. 저축은행 연체율은 2.37%로 2021년 말 대비 1.18%포인트 올랐으며, 여신전문회사 연체율은
화성 동탄, 수원 영통, 인천 송도 등 최근 급매 거래로 집값이 크게 떨어진 지역에서 전세를 끼고 매매하는 '갭투자' 거래도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매맷값과 전셋값 격차가 1억 원대인 소액 갭투자가 다시 고개를 들기 시작한 것이다. 9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서 최근 3개월간 갭투자 매매거래 증가 지역을 조회한 결과 경기 화성, 경기 평택, 수원 영통, 세종, 창원 성산, 인천 연수 등이 차례로 상위권에 올랐다. 이번 하락장에서 최고가 대비 큰 폭으로 내린 실거래가 여러 건 등록되면서 집값이 크게 내린 지역들이다. 아파트 매수자가 구입 후 실거주하지 않고 2~3개월 이내에 신규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면 갭투자로 분류된다. 지난 한 해 동안 누적 하락률은 세종시가 -16.74%로 가장 컸고, 인천 연수(-15.10%), 수원 영통(-14.99%), 화성(-13.22%) 등도 10% 넘게 떨어졌다. 정부의 1·3대책 발표 후 서울 등에서는 하락폭이 눈에 띄게 축소되는 모습이지만, 지난달 30일 기준 화성(-1.01%), 세종(-1.00%), 영통(-0.83%) 등은 아직 주간 하락률이 1%대 내외에 머물고 있다. 매맷값과 전셋값의 차액도 크지 않아 소액
부동산 시장 경색 국면이 지속될 경우 금융당국이 올 상반기 추가 규제 완화를 통해 연착륙을 유도할 것으로 보인다. 8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지난주 새해 업무보고에서 오는 3월 말부터 다주택자도 부동산 규제지역에서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받을 수 있도록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30%까지 허용하기로 했다. 임대·매매 사업자의 대출 규제도 해제해 3월 말부터 규제 지역 내 LTV는 30%까지, 비규제 지역은 60%까지 허용하기로 했다. 무주택자와 1주택자는 지난 1·3 부동산대책을 통해 LTV 한도가 규제 지역은 50%, 비규제 지역은 70%로 확대됐다. 금융위원회는 3월 말부터 대출 규제 완화를 시행한 뒤 부동산 시장 경색이 지속될 경우 대출 규제 추가 완화를 검토할 예정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가계 부채 및 주택 시장 상황을 봐가며 대출 규제 추가 완화도 검토할 수 있다"고 했다. 금융위가 새해 업무보고에서 제시한 추가 부동산 대출 규제 완화 방안은 1주택자의 LTV를 더 확대하는 것이다. 아울러 2주택자의 대출 규제도 더 풀어서 규제 지역 내 LTV를 30%에서 40%, 임대 사업자는 규제 지역 내 LTV를 30%에서 50%까지 상향하는 방
정부의 규제완화에도 신도시를 품은 경기 지역은 아직도 주간 낙폭이 1%대에 가까울 정도로 큰 폭의 조정이 이뤄지고 있다. 특히 신축 아파트 단지의 밀집,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호재, 교통망 개선 등으로 각광을 받았던 2기 신도시에서 매서운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부터는 실거래가 하락이 두드러진 데 이어 새해 들어서도 최고가 대비 30~40% 이상 가격이 빠진 급매물 위주로 소화되고 있다. 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월 다섯째 주(30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38%, 서울은 0.25% 하락한 데 비해 경기도는 0.55% 내렸다. 이 중에서도 화성(-1.01%), 하남(-0.96%), 수원 영통구(-0.83%) 등에서 하락폭이 컸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매수심리 위축으로 거래가 거의 이뤄지지 않는 가운데 화성은 동탄신도시와 병점동, 하남은 미사신도시와 덕풍·신장동, 수원 영통구는 광교신도시와 매탄·영통동 위주로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실거래를 봐도 이들 지역의 급락을 확인할 수 있다. 화성시 청계동 동탄역 시범한화 꿈에그린프레스티지 전용 84㎡는 지난달 27일 8억 3000만 원(1층)에 거래됐다. 2021년 8월 기록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