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미지가 소비자들의 제품구매에 영향을 미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소비자 350명을 대상으로 ‘기업이미지가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32.0%는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52.7%는 ‘다소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소비자 10명 중 9명이 호감 가는 기업의 제품을 우선 구매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기업이미지를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해당기업 제품의 품질수준’(69.3%)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기업규모’(12.0%), ‘소비자중시 경영’(8.7%), ‘기업비전과 장기적 성장가능성’(5.0%) 등을 차례로 지적했다. 윤리경영을 실천하는 기업일 경우 가격이 비슷하거나 조금 비싸더라도 구매하겠는가’를 묻는 물음에 ‘구매하겠다’는 응답이 92.0%에 달해 윤리경영 실천이 기업실적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었다. 또한 품질인증마크, 친환경인증마크 등 신뢰성을 나타내는 표식 역시 소비자들의 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어 76.3%의 소비자들이 ‘구매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기업관련 정보를 얻는 방법으로는 ‘언론보도’가 40.4%로 가장 많았고 ‘인터넷’(32.0%), ‘기업광고·
한국무역협회는 16일 서비스산업위원회를 열고 ‘서비스산업 육성 및 해외진출 확대 방안’을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무협은 소프트웨어, 영화, 의료관광, 관광, 프랜차이즈 등 5개 분야에서 정부의 지원 강화 등을 요청했다. 건의문에는 소프트웨어 및 IT서비스 업계의 해외 수주활동에 정부 및 관계기관의 지원활동을 강화하고 해외 영화사가 우리나라에서 영화 촬영을 할 때 지원하는 로케이션 지원제도의 적극적인 운영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담겼다. 의료관광 분야에서는 정부가 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해 도입한 코디네이터를 국가 자격증 제도로 격상하고 한방, 양방, 치과, 성형 등으로 분야를 세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이외에 현재 시설위주로 운영되는 관광호텔 등급평가 기준에 숙박서비스 요소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프랜차이즈 업계의 해외진출 시 업계 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체제구축이 시급하다고 무협은 강조했다.
에너지관리공단 경기지역센터는 오는 20일 용인시청에서 대한타이어공업협회, 한국타이어, 넥센타이어 등 5개기관과 합동으로 ‘고유가 대응 수송 에너지절약 캠페인’을 펼친다. 이번 캠페인은 스마트(SMART) 드라이빙의 일환으로 자동차 경제속도(60-80Km/h) 준수, 급출발·급제동·급가속 안하기, 엔진 공회전 안하기 등 에너지 절약활동을 시민들에게 홍보한다. 또한 대한타이어공업협회, ㈜한국타이어 및 ㈜넥센타이어 소속의 A/S 전문인력 8명이 캠페인에 참여, 시민들을 대상으로 적정공기압 주입 및 안전한 타이어 사용요령 대해 설명한다. 이외에도 오는 11월부터 시행되는 ‘타이어 효율 등급제도’에 대해 일반 소비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리플릿을 제작해 배포할 예정이다.
건설업계가 분양가 상한제 폐지를 국회에 강력하게 요청했다. 건설단체 모임인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건단련)는 14일 전국의 주택 관련 건설업체 5천445개사의 서명을 받아 분양가상한제 폐지를 요청하는 내용의 탄원서를 국회 국토해양위원회와 각 정당 정책위의장 앞으로 보냈다고 15일 밝혔다. 앞서 건단련은 분양가 상한제 폐지 문제가 이번 회기를 넘기면 장기 표류할 우려가 크다는 위기감으로 국회와 정부에 강력 호소하기로 결정했었다. 건단련은 탄원서에서 “건설산업의 회생을 위해선 단기적인 대책보다 주택경기 침체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상한제의 폐지가 시급하다”며 “6월 임시국회에서 상한제가 개선되지 않으면 건설업계는 벼랑 끝에 내몰릴 수밖에 없는 절박한 한계상황에 처할 것”이라고 호소했다. 건단련 주장으로는 2007년 9월 상한제 시행 이후 연간 주택건설 물량은 38만가구로 이전 3년 평균치인 50만가구에 비해 24% 줄었다. 여기에 총부채상환비율(DTI)과 담보가치인정비율(LTV) 규제, 낙후된 건설금융 시스템, 건설사들의 무분별한 사업 확장 등 악재가 겹치면서 상위 100대 건설사 중 27개사가 법정관리나 워크아웃에 들어가고 13개사가 대주단협약에 가입해야 했다.
에너지관리공단 경기지역센터는 오는 8월 16일부터 19일까지 안산 경기도청소년수련원에서 ‘에너지절약 청소년 체험캠프’를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 경기지역 ‘SESE(Save Energy Save Earth)나라’ 회원 중 초·중·고 학생 각 250명씩 총 5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이번 행사는 1차( 8월 16∼17일)와 2차(8월 18∼19일)로 나눠 실시된다. 캠프 참여는‘SESE나라’에 가입하면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으며 문의는 에관공 경기센터(031-260-4605·http://www.sese.or.kr)로 하면 된다.
■ 수도권 분양물량 선호도조사 결과 올 하반기 수도권에서 분양받고 싶은 아파트로 광교 참누리 아파트와 방배동 롯데캐슬이 꼽혔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www.DrApt.com)는 올 1월부터 이번달 10일까지 1만2천65명을 대상으로 선호도를 조사해 분양받고 싶은 아파트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에서는 신도시 광교와 성남시 재개발 현장에 관심이 높았고 서울은 방배동, 역삼동 등 강남권 재건축과 보금자리가 인기 분양단지로 선정됐다. ◆경인지역 경기·인천지역에서는 신도시 광교 A31블록에 위치한 광교참누리가 선호도 1위를 차지했다. 광교참누리는 울트라건설이 80㎡ 350가구를 10월 분양할 계획이다. 경기대 수원캠퍼스와 바로 맞닿아 있으며 신분당선 남쪽 연장구간이 2016년 개통될 경우 역세권에 위치하게 된다. 특히 전용면적 59㎡ 소형아파트로만 이뤄져 청약자들의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2와 3위는 성남시 재개발 단지가 모두 차지했다. 대우건설이 단대동 단대구역을 재개발해 1천140가구 중 85~164㎡ 252가구를 9월경 일반분양할 계획이다. 서울지하철 8호선 남한산성역이 도보 5분내 거리로 가깝고 중앙로,
오는 7월 잠정 발효되는 한-EU FTA를 앞두고 도내 수출기업 절반 이상이 별다른 대응책을 준비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돼 활용도 제고를 위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경기본부는 경기도, 중소기업진흥공단 등과 합동으로 도내 기업 524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FTA 활용실태조사’ 결과, 도내 기업 중 58.7%가 아직 FTA를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14일 밝혔다. 특히 이들 미활용 업체의 53.7%가 ‘FTA 대응을 위해 어떠한 형태의 준비조차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이에 대한 이유로는 ‘회사와 연관이 있으나 방법을 몰라서’라는 응답이 33.3%로 가장 높았다. FTA를 준비하는 과정 중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응답기업의 39.9%가 ‘FTA특혜관세 활용방법 및 절차가 복잡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음으로 ‘원산지 증명작성 및 입증서류의 확보’(27.8%) ‘FTA 체결국에 대한 시장정보의 확보’(12.7%) 등의 어려움이 뒤를 이었다. FTA 활용 극대화를 위해 정부 및 유관기관에서 시급히 시행해야 할 지원책으로는 52.7%가 ‘원산지 증명서 발급 등 서류 및 절차 간소화’가 시급하다고 답했고, 이어 ‘F
“중국 가맹사업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비결은 현지화, 투자파트너, 현지 인재 발굴 등이 우선 돼야 합니다.” 대한상공회의소와 코트라가 14일 대한상공의소에서 개최한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 진출방안 및 성공사례 세미나’에서 코트라 상하이 코리아비즈니스센터(KBC) 김명신 박사는 중국 가맹사업 시장에 성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6가지 경영전략을 제시했다. 김 박사는 “‘현지 기호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제품개발’, ‘적절한 투자파트너 선정’, ‘현지환경에 대한 이해도 높은 인재영입’, ‘영향력 있는 홍보모델 기용’, ‘상표 선등록’, ‘자체 물류·생산시스템 구축’ 등 6가지 경영전략이 중국시장 진출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꼽았다. 김 박사는 또 “현재 중국에서는 패스트푸드와 디저트, 자동차 유지보수와 용품판매, 주유소와 편의점 등 업종 간 제휴가 확대되는 추세”라며 “국내 기업들도 중국 시장 진출 시 다른 업종과 동반 진출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 박사는 특히 “중국 프랜차이즈 기업들은 3대 애로사항으로 ‘가맹비 수취’, ‘가맹주 투자의향 약화’, ‘가맹분쟁’을 차례로 꼽았다”면서 “향후 중국시장에서 가맹본부와 가맹점의 관계에 대해 더욱 유
경기지방중소기업청은 14일부터 20일까지 예비창업보육실 입주자를 모집한다. 예비창업보육실의 운영은 중소기업 창업활성화를 위해 청사내 여유공간을 기술력과 사업역량을 겸비한 예비창업자의 창업공간으로 활용해 지역내 우수기술과제의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매년 6월과 12월에 최대 10명 이내(11년 상반기 7명이내)로 입주자를 모집·심사해 선발하고 있으며 기본 6개월 계약에 1회에 한해 입주연장시의 결격사유가 없으면 추가 6개월의 계약이 가능하다. 특히 입주자에게는 창업상담, 간담회, 입주자간의 교류 및 커뮤니티를 제공하고 있으며 경기중기청의 실험 및 연구장비 인프라에 대한 활용과 각종 창업 등의 정부지원사업에 대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문의:031-201-6907.
1. 현존하는 향토기업과 떠나간 향토기업 2000년 이전까지 수원은 수도권 남부를 대표하는 기업도시였다. 장안구 조원동에 위치했던 한일합섬, 매산로에 자리잡았던 대한방직을 비롯해 수원의 대표기업 삼성전자㈜, SK케미칼㈜(선경합섬) 등 현재 화성과 갈비가 수원의 대표적인 이미지로 자리 잡았다면 과거에는 기업도시로서의 명성이 더 높았다. 기업의 부흥은 수원시가 모든 기초 자치 단체 중에서 가장 많은 인구(2010년 8월 기준)를 보유하게 된 가장 큰 원동력이었다. 그러나 IMF 구제금융시대에 접어든 1998년을 전후해 기업이탈이 시작됐다. 경영 악화와 신규 투자 억제와 같은 수도권 규제 등으로 인해 기업들이 속속 지방과 해외로 이전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까닭이다. ◆ 현존하는 최장수 향토기업, 농우바이오 수원에서 태어나 현재까지 왕성한 경영활동을 벌이고 있는 향토기업(제조·종업원 20인 이상)의 역사는 1960년 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960년 대에 설립된 소수의 기업만이 수원에서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으며 1960년 이전에 설립된 기업들은 이제는 남아있지 않다. 수원상공회의소에 따르면 ㈜농우바이오, 삼성전자㈜ ㈜동원데어리푸드, 한국삼공㈜, ㈜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