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이 배움에서 멀어지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그 내용과 방법이 학생들의 삶과 동떨어져 있다는 것이다. 자신의 삶에 주인이 되어야 할 학생들은 그동안 교과 사이에 엄격한 구획과 단절이 지속된 환경에서 배움과 삶의 공간이 분리돼 수동적 교육을 받아 왔다. 군포 둔대초등학교는 이 같은 교육 문화에…
Q. 공간혁신에 대한 소회가 있다면? 2019년 9월 대덕에 부임했다. 전에 있던 학교에서도 공간혁신을 신청했어서 사업에 대한 나룸의 고민을 한 상태로 부임했다. 흔히 말해 전국에 있는 모든 초등학교 교실이 똑같다. 획일화 됐다. 교육 과정 역시 지역의 특색이 반영되지 않고, 일률적이다. 학교 중심의 교육과…
“개구리 선생님, 여기 좀 와보세요. 복도에 벌레가 있어요!” 드르륵. 교장실의 문이 열리고 2학년 학생들이 우루루 들어와 교장 선생님과 벌레를 잡으러 간다. 안성 대덕초등학교의 일상이다. 대덕초는 공간혁신 사업을 위해 교사와 학생, 학부모가 한마음 한뜻으로 마스터플랜을 마련했다. 6개월의 대장정을…
Q. 공간혁신 사업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있다면? = 우리 학교는 지난 2017년 개교한 비교적 최신 시설을 갖추고 있었고, 유휴교실이 많이 있었지만 해마다 학급 수가 늘어 학생들을 맞이하기 위한 교실을 만드느라 바빴다. 그 후에도 남은 공간에 대해 ‘어떻게 할까?’ 고민을 하고 있던 차에 그때 마침 공간…
2017년 9월 개교한 광명 빛가온초등학교는 비교적 최신식 시설을 갖춘 학교로 알려져 있다. 넓직한 복도 등은 빛가온초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다. 5년 여 학교생활을 이어가며 널찍한 복도 끝 부분을 어떻게 활용할까 고민하던 학생들과 교사들은 상상력을 자극하는 놀이공간으로 바꿔보자는…
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은 ‘2021 사례로 공감하고 성장하는 동두천양주 학교자치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학교 자치 개념을 학교 구성원들에게 내면화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단위학교의 학교자치 실천을 돕기 위해 지난 23일 지역 내 교장, 교감, 학교자치 업무 담당 교사 234명을…
여주교육지원청이 ‘2021학년도 여주고교학점제 마을 캠퍼스 협약(MOU)’을 맺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오는 2025년 전면 실시하는 고교학점제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여주시와 여주시의회, 여주대학교, 여주문화원 등 관련기관들이 참가해 지역사회와 연대·협력해 고교학점제 연구…
수원교육지원청은 코로나19로 신체 활동이 위축된 지역 내 초·중·고 학생들에게 건강하고 행복한 체육활동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021 수원 비대면 학교스포츠클럽 무한도전 프로젝트’를 운영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2021 수원 비대면 학교스포츠클럽 무한도전 프로젝트’는 이날부터 5월 14…
경기도교육청은 지난 22~23일 이틀 동안 ‘2021년 상반기 경기도교육청 순회 법제교육’을 실시했다고 26일 밝혔다. 도내 각급 기관 공무원 76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교육은 법을 집행하는 공무원의 법령 해석 능력과 집행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교육에서는 ▲법령체계와 자치법규 입법절차 ▲교…
구리남양주교육지원청은 지역 내 초·중 학부모를 대상으로 자유학년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자유학년제 학부모 공감 연수’를 실시간 유튜브 방송으로 진행한다. 자유학년제 학부모 공감 연수는 자녀 스스로 진로에 대해 깊이 탐색할 수 있도록 뒷받침해 주는 학부모의 교육적 역량을 함양하기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