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망 ESG 관리를 진행 중인 대·중견기업의 활동은 기업규모보다 업종과 관련성이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소기업중앙회는 6일 ‘2024년 대기업 공급망 관리 실태분석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같이 밝혔다. 분석 대상은 한국거래소 ESG 포털에 지난해 9월 30일까지 보고서를 자율 공시한 상장 대·중견기업 148개 사로, ESG 평가기관인 서스틴베스트에서 수행했다. 해당 보고서는 대상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및 협력사 행동규범을 토대로 대·중견기업의 공급망 ESG 관리 활동을 14개 세부 활동으로 구분하고, 그 실시 여부 및 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를 담았다. 분석 결과 대상기업의 75%가 자체적인 행동규범, 평가 기준, 협력사 지원 등을 통해 공급망 ESG 관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활동별로 살펴보면 ▲협력사 평가 실시(75.0%) ▲협력사 행동규범 보유(67.6%) ▲협력사 평가항목 보유(57.4%) ▲구매시스템에 반영(52.0%) 순으로 실시 비율이 높아, 대다수 상장기업이 협력사 ESG 평가체계 구축 등 공급망 ESG 관리를 위한 기초 인프라 마련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자동차(74.4%) ▲전자부품(66.7%)…
지난 2년 새 대기업 계열 건설사의 채무보증 규모가 23조 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흥건설의 채무보증 증가율은 441%로, 국내 대기업 계열 건설사 중 가장 높았다. 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81개 대기업집단 중 2021∼2023년 건설 계열사를 두고 공사 시행을 위해 발주처와 입주예정자 등에 채무보증을 제공한 31개 그룹 106곳을 조사한 결과, 채무보증이 늘어난 건설사는 38곳으로 집계됐다. 변동이 없는 곳은 12곳, 채무보증이 줄어든 곳은 56곳이었다. 조사 대상 대기업 계열 건설사의 채무보증액은 2년 새 23조 8416억 원(12.1%) 증가했다. 건설사의 채무보증이 늘어난 건 수주 물량 확대와 신규 사업 증가로 해석할 수 있지만, 부동산 경기 침체로 사업이 지연될 경우 부실이 보증 제공자에게 전이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채무보증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중흥건설이다. 2021년 말 2566억 원에서 2023년 말 1조 3870억 원으로 440.5% 늘었다. 같은 그룹 건설사인 중흥토건 채무보증은 8340억 원에서 3조 6794억 원으로 341.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송도랜드마크시티의 채무보증은 1263억 원
NH농협은행에서 110억 원에 달하는 규모의 배임사고가 발생해 경찰이 수사에 들어갔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농협은행은 업무상 배임 등으로 109억 4700만 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고 지난 5일 공시했다. 여신 업무를 담당했던 직원이 대출 과정에서 부당한 이익을 취득한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사고 발생 기간은 2019년 3월 말부터 지난해 11월 10일까지이며, 이로 인해 농협은행이 입은 실제 손실액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농협은행은 해당 직원에 대한 형사고발을 마쳤으며, 인사위원회를 거쳐 징계할 예정이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현재 경찰에서 수사가 진행되고 있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
LG전자는 6일부터 사흘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EV트렌드코리아’에 참가해 주택, 상업 공간, 충전소 등 다양한 쓰임새에 최적화한 전기차 충전 솔루션을 선보인다. LG전자가 국내에 판매 중인 전기차 충전기 전체 라인업(7kW 완속 충전기, 100kW∙200kW 급속 충전기 2종)을 전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를 위해 전시관(180㎡ 규모)을 주택, 상업 공간, 충전소 등 여러 콘셉트로 꾸몄다. 주택용 7kW 완속 충전기는 터치스크린을 탑재해 사용이 편리하고, 벽부형∙스탠드형 2가지 타입이 있어 공간 맞춤 설치가 가능하다. 100kW 급속 충전기는 상업용 주차장으로 꾸민 공간에서 선보인다. 차량 2대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어 쇼핑몰, 병원, 레스토랑 등 공공 주차장에 유용하다. 충전소 공간에는 더욱 빠른 충전 속도를 지원하는 200kW 급속 충전기도 전시했다. 방문객은 충전기 제품뿐만 아니라 전력량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관제 솔루션인 ‘이센트릭(e-Centric)’ 또한 체험할 수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이는 전기차 충전기 전 제품은 LG전자의 엄격한 품질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생산돼 내구성이 뛰어나다. 영하 2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기능이 강화된 프리미엄 공기청정기 '비스포크 큐브 에어 인피니트 라인'을 출시한다. 6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비스포크 큐브 에어 인피니트 라인은 '4방향 서라운드 청정' 기술을 적용해 4면 360도 방향으로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고 깨끗해진 공기를 공간 전체에 고르게 내보내는 기술을 갖췄다. 더욱 빠른 청정과 공기 순환이 필요할 때는 제품 상단에 위치한 '팝업 청정 부스터'가 작동해 필터를 통과한 청정한 공기를 최대 11m의 먼 곳까지 보낸다. 이 부스터는 스마트싱스 앱을 통해 회전 각도 범위를 설정해 주로 생활하는 공간을 맞춤 케어하는 것도 가능하며, 작동하지 않을 때는 내부에 숨겨지도록 디자인돼 주변 환경과 조화롭게 어울린다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 제품에는 극세필터·항균 집진필터·숯 탈취 강화필터로 구성된 일체형 'S필터'가 적용돼 초미세먼지 기준인 2.5㎛(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0.01㎛ 크기의 먼지를 99.999% 제거하고, 생활 냄새부터 펫 냄새까지 최대 99% 제거해준다. AI 기술을 적용한 통합 맞춤 청정 솔루션도 특징이다. ▲실내외 공기질을 비교∙학습해 공기질이 나빠질 것으로 예측되면 미리 실내 공
지난해 국민연금 운용 수익이 126조 원을 기록하면서 13.6%라는 역대 최고 수익률을 기록했다. 기금 적립금도 처음으로 1000조 원을 돌파했다. 6일 국민연금공단 북수원지사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국민연금기금이 적립금 1036조 원, 수익금 127조 원으로 집계돼 13.59%(잠정) 수익률을 기록했다. 국민연금기금이 설치된 1988년부터 기금 투자를 통해 조성된 누적 운용수익금은 총 578조 원으로, 전체 기금 적립금의 절반 이상(55.8%)이 운용 수익으로 채워졌다. 국민연금 측은 “지난해 초 세계 경기침체 우려 속에서도 국내외 증시와 채권이 동반 강세를 보이며 연간 수익률을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자산별 수익률을 살펴보면 국내 주식 22.12%, 해외 주식 23.89%, 국내 채권 7.40%, 해외 채권 8.84%, 대체 투자 5.80%로 나타났다. 국내 및 해외 주식은 미국 은행권 위기와 중동 지정학적 위험 등 금융시장 불안 요인이 부각됐으나, 개별 기업의 실적 호조에 따른 위험자산 선호로 양호한 수익률을 기록했다. 국내 및 해외 채권은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에도 인플레이션(물가 오름세) 둔화에 의한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긴축 종
가파른 농산물 가격 오름세와 국제유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3%대에 재진입했다. 생활물가지수 상승 폭도 4개월 만에 확대됐다. 통계청이 6일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77(2020=100)로 1년 전보다 3.1% 올랐다. 지난해 8월부터 12월까지 3%를 웃돌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 2.8%를 기록하며 2%대로 내려왔지만, 지난달 다시 3%대를 기록했다. 과일을 비롯한 농산물 물가가 치솟으며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농산물 물가는 20.9%나 올라 전체 물가를 0.8%포인트(p) 끌어올렸다. 이는 2011년 1월(24.0%) 이후 13년 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사과(71.0%), 귤(78.1%), 토마토(56.3%), 파(50.1%), 딸기(23.3%)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국제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석유류 물가 하락 폭도 지난달(-5%)보다 축소된 1.5%에 그쳤으며, 이에 따라 석유류의 전체 물가 기여도 또한 -0.21%p에서 -0.06%p로 줄면서 상대적으로 물가를 끌어올리는 역할을 했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과실 등이 많이 오른 영향으로 소비자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 2024'가 6일부터 오는 8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진행된다. 올해로 12번째 열리는 이번 전시회는 최다 업체가 참가를 신청하는 등 최대 규모로 꾸려질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와 코엑스 등이 주관하는 인터배터리 2024엔 역대 최대 규모인 18개국 579개 기업·기관들이 참여해 1896개의 부스를 꾸린다. 관람객 수도 지난해 기록을 넘겨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지난해 6만여 명이 인터배터리 전시회를 찾은 데 이어 올해는 약 7만 5000여 명의 방문객을 맞을 것으로 추산된다. 인터배터리 2024에서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전체 가치사슬(밸류체인)별 신제품과 신기술을 만나볼 수 있다.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포스코 등 국내 주요 배터리 사업자들의 신기술이 전시된다. 먼저 LG에너지솔루션은 참가업체 중 최대 규모인 540㎡ 규모로 전시 공간을 마련하고 자체 개발한 파우치형 셀투팩(Cell to Pack·CTP) 기술과 IT 기기용 미드니켈 소형 파우치 셀 등을 처음 공개한다. 삼성SDI는 '꿈의 배터리'로
국내 게임업체 시프트업이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 예비심사 신청서를 제출했다. 6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에 따르면 지난 5일 시프트업은 유가증권시장 신규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 신청서를 접수했다. 대표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JP모간증권 서울지점이다. 2013년 12월 설립된 시프트업은 모바일·콘솔 게임 소프트웨어를 개발·공급하고 있다. 대표적인 게임으로 '승리의 여신:니케'를 서비스하고 있다. 최대주주는 창업자 김형태 대표 등 9명(48.8%)이며, 2대주주는 지분 24%를 보유 중인 중국 텐센트다. 텐센트는 작년 11월 시프트업 지분을 추가 취득하면서 기업가치를 2조 원으로 책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국내 주요 벤처캐피털(VC)들도 시프트업 투자를 단행했다. 지난 2016년 카카오벤처스가 시리즈A에 참여했으며, 대성창업투자(대성창투(2000원 ▲36 1.83%)),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IMM인베스트먼트가 투자했다. 한편, 시프트업은 지난해 3분기 말 별도 기준 1228억 원의 매출과 787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 경기신문 = 이효정 기자 ]
네오핀의 가상자산 예치총액(TVL)이 2000억 원을 돌파했다. 네오핀은 아시아 최대 디파이로 거듭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탈중앙화 금융 플랫폼 네오핀은 지난 5일 가상자산 디파이(DeFi, 탈중앙화 금융) 상품의 연속 히트 및 네오핀 토큰(NPT), 클레이튼(KLAY), 핀시아(FNSA) 등 가상자산 상승세에 힘입어 1억 8000만 달러(약 2400억원)의 통합 TVL(Total Value Locked)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TVL은 가상자산 예치 총액으로, 블록체인 산업에서 프로젝트의 규모와 성장성 등을 판단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활용된다. 네오핀은 최근 선보인 디파이 상품들이 메가히트를 기록 중이다. 지난달 29일 선보인 클레이튼-스테이블 코인(USDT) 페어 예치 상품의 TVL은 불과 5일 만에 14배 이상 성장하며 클레이튼 커뮤니티의 높은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달 15일 출시한 클레이튼과 nFNSA(클레이튼으로 전환된 핀시아)의 페어 예치 상품 역시 약 2주 만에 TVL이 20배 이상 성장했다. 그간 디파이 부문에서 사용처가 전무하던 핀시아 기반 자산을 활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네오핀 생태계의 주요 가상자산인 네오핀 토큰(NPT)의 가격 상승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