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지난해 10월 전국 지자체 최초로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 특정감사’를 진행하고, 주요 순화 용어 78개를 발표했다. 또한 일회성 감사에 그치지 않고자, 정기 감사제도 정착 등 올바른 공공언어를 쓰기 위한 중장기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그로부터 6개월이 지난 지금 도의 공공언어 사용 실태는 얼마나 달라졌을까. 경기신문이 살펴봤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① “바꾸겠다” 했는데…도 보도자료, 여전히 ‘외국어·한자어’ 투성 ② 인프라·글로벌·멘토링 등 관행적으로 쓰는 외국어도 다수 ③ ‘스타트업 M&A 교육’·‘DMZ정책과’…사업·부서명 외국어 다듬어야 ④ “국어책임관 1명으로는 한계…팀 수준으로 조직 확대해야” <끝> 경기도(이하 도)가 지난해 정부 지자체 최초로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 특정감사’를 진행했지만, 아쉽게도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가 정착하기까지는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도의 특정감사는 대외적으로는 '전국 관공서 최초의 감사'이자 ‘민간의 시민과 국어 전문가들을 시민 감사관으로 위촉해 진행한 합동 감사’였다는 점에서 주목을 끌었다. 그 노력 덕에 도는 지난달 대전에서 열린 ‘11회
◆ IP(Intellectual Property) → 지식 재산, 지식 재산권 (원문) 중소·중견기업의 해외 IP 분쟁 대응을 돕는다. (고쳐 쓴 문장) 중소·중견기업의 해외 지식 재산 분쟁 대응을 돕는다. (원문) 특허청이 IP에 대한 공적 감정 시스템을 도입할 때라고 밝혔다. (고쳐 쓴 문장) 특허청이 지식 재산권에 대한 공적 감정 시스템을 도입할 때라고 밝혔다. (원문) IP 기반의 웹툰·웹소설 시장 성장이 본격화하고 있다. (고쳐 쓴 문장) 지식 재산권 기반의 웹툰·웹소설 시장 성장이 본격화하고 있다. * ‘우리말 하루 한 단어’는 경기신문, 문화체육관광부, 국어문화원연합회가 함께합니다. [ 경기신문 = 유연석 기자 ]
경기아트센터는 연극 '넓은 하늘의 무지개를 보면 내 마음은 춤춘다'를 오는 9월 1~2일 이틀간 공연한다고 30일 밝혔다. 연극은 시골 변두리의 폐관을 앞둔 영화관을 배경으로, 교내 따돌림과 가족 부양 문제 등 우리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잔잔한 감동과 유머를 통해 담담하게 풀어낸다. 마치 ‘비 온 뒤 맑게 갠 하늘에 떠오른 무지개’처럼 아픈 현실 속에서도 희망은 있다는 따뜻한 메시지를 관객들에게 전달하는 연극이다. ‘극단 수’가 무대에 오르며, 영화 '용길이네 곱창집'의 정의신 작가와 따뜻하고 감각적인 연출로 각광받고 있는 구태환 연출이 호흡을 맞춘다. 연극은 지난 2018년 초연 이후 매년 재공연을 거치면서 작품성과 대중성을 인정받은 바 있다. 2020년 제41회 서울연극제에서 "학교폭력, 노부모 부양, 성 소수자 등 시의성 있는 이야기를 다루며 사회가 외면하는 문제들을 직면하고, 잊혀가는 것들에 대한 아쉬움이 잘 담긴 작품"이라는 호평을 받으며 대상을 수상하기도했다. 연극은 ‘2022 방방곡곡 문화공감’ 우수 공연으로 선정된 작품으로,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가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공연 제작을 후원한다. 중학생 이상 관
경기문화재단이 문화예술 정책 대담 영상 콘텐츠 '지지씨 정책 프리즘' 2회 ‘예술인 지원제도의 허와 실’을 26일 공개했다고 30일 밝혔다. 참여소득 이슈 등 예술인 지원제도의 변화의 움직임과 당면한 혁신 과제, 인식의 전환을 위해 해야 할 일들에 대해 다룬다. 첫 번째 분야 ‘마주 앉아 정책토크’에서 김종길 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장과 김석진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지원사업부장이 의견을 나눈다 두 번째 분야 ‘한 번 더 밑줄 긋기’에서는 성연주 문화사회학 연구자가 작품에서 사람으로, 예술 지원의 패러다임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3분 이슈 클리핑’에서는 K-Contents 의 부상과 기후위기 속 행동하는 문화예술 향유자들의 의미 있는 연대와 캠페인, 예술인 돕는 창작준비금 관련 이슈에 대해 짚어본다. ‘지지씨 정책프리즘’은 매 회차 경기문화재단 공식 유튜브에서 공개한다. [ 경기신문 = 유연석 기자 ]
그룹 이달의 소녀 멤버 여진이 월드 투어 공연 중 쓰러졌다가 안정을 되찾았다고 소속사 블록베리크리에이티브가 30일 밝혔다. 소속사는 여진이 28일(현지시간) 고산지대인 멕시코시티 공연에서 안무를 하다가 호흡 문제로 쓰러졌다고 설명했다. 소속사는 "여진은 쓰러진 후 곧바로 현장 의료진의 조치를 받아 안정된 상태"라며 "조속히 건강을 회복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달의 소녀는 지난 1일부터 데뷔 후 첫 월드투어인 '2022 루나 퍼스트 월드 투어 [루나더월드]'(2022 LOONA 1st WORLD TOUR [LOONATHEWORLD])를 진행 중이다. 여진이 쓰러진 멕시코시티 공연은 이번 월드투어의 북미 지역 마지막 공연이다.
“천사를 본적이 없으므로 천사를 그릴 수 없다.” 19세기 사실주의 회화의 선구자 귀스타브 쿠르베(Gustave Courbet)의 말이다. 그는 초라한 행색의 노동자, 주름이 깊게 팬 노인 등 우리가 마주할 수 있는 현실 속 사람들을 그렸다. 이상적, 감동적 주제만을 다뤘던 르네상스 시대를 넘어 일상적 소재와 주변의 풍속 등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것들을 화폭에 담았다. 이렇듯 사실주의는 단순히 눈에 보이는 것을 묘사할 뿐만 아니라, 그 시대의 생활상을 진실되게 그리는 것이었다. 지난 17일 경기 성남 수호갤러리에서 개막한 전시 ‘멋진 신세계를 열다 파트4. 리얼리즘’은 이석주, 김남표, 송형노, 이경미, 정성원 등 동시대 작가 5인의 시각으로 바라본 현실 세계를 비춘다. 각 작가들이 사유한 결과를 살피며 삶의 본질을 탐구해보고자 한다. 송형노 작가는 동물을 은유적인 표현의 소재로 활용해 관람객의 상상을 불러일으킨다. 작품에 등장하는 동물들은 좁게는 작가와 그의 가족 이야기, 넓게는 현대인의 이야기로 확장해 해석할 수 있다. 꿈을 꾸는 듯한 동물들의 모습이 극사실적으로 그려져, 이상향을 좇는 우리의 모습에 이입되기도 한다. 이경미 작가는 다채로운 색의 풍선과…
안양대학교 음악학과 최정현 교수는 다음 달 7일 서울 예술의전당 인춘아트홀에서 바이올린 독주회를 연다. 최 교수는 서울대 음악대학을 수석 졸업하고 서울대 현악과 박사 1호로 세련된 음색과 깊이 있는 음악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로맨틱 어텀’(Romantic Autumn)이란 주제로 열리는 이번 공연에서 최 교수는 브람스의 ‘바이올린 소나타 1번’과 크라이슬러의 ‘사랑의 기쁨’, 생상스의 ‘하바네이즈’와 쇼팽의 ‘녹턴’등을 선사한다. 티켓은 인터파크나 예술의전당 누리집에서 구매하면 된다. [ 경기신문 = 송경식 기자 ]
호주 현지에 우리 생활도자의 우수성을 알리는 전시가 열린다. 한국도자재단은 내달 2일부터 호주 주시드니한국문화원 전시관에서 한국생활도자전 ‘데이 바이 데이: 코리안 세라믹스 인 데일리 라이프’(Day By Day: Korean Ceramics in Daily Life)를 개최한다고 30일 밝혔다. 주시드니한국문화원과 공동으로 주최하는 전시로, 11월 4일까지 진행된다. ▲권가현 ▲김규태 ▲김정애 ▲민승기 ▲박미원 등 17명의 생활도자 작가가 참여하여, 한국 전통·현대 기법을 적용한 생활 도자기를 선보인다. 고대 토기와 분청사기를 동기(모티브)로 제작한 화병 시리즈 ‘어글리 팟’, 연리문 기법(여러 가지 색의 흙을 섞어 무늬를 내는 한국의 전통적 기법)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접시, 나전칠기 기법(얇게 간 조개껍데기를 여러 형태로 오려 기물의 표면에 감입시켜 꾸미는 칠공예의 장식 기법)으로 제작한 ‘모란 브로치’ 등 다양한 생활도자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부대 행사로는 매년 10월에 10일간 열리는 시드니 최대 공예 축제인 ‘시드니 공예 주간(10월 7~16일, 호주 디자인 센터 주관)’과 연계해 10월 11일 전시장 야간 개장, 공예 연수회 등 특별 행사를…
수원문화재단(대표이사 김현광)은 행궁동만의 특색이 담긴 가게를 발굴하여 신규 관광자원으로 육성하고 골목상권을 활성화하기 위한 ‘수원 행궁가게’ 공모를 실시한다고 29일 밝혔다. 공모 기간은 다음 달 18일까지, 행궁동 지역(남창동, 남수동, 매향동, 북수동, 신풍동 등 포함)에 소재한 가게를 대상으로 약 20곳을 선정할 예정이다. 선정이 되기 위해서는 행궁동을 대표할만한 상징성과 정체성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업종과 상호변경 없이 영업을 지속하고 있거나, 고유한 기술 또는 차별화된 상품이 있거나, 행궁동·수원화성과 관련된 독특한 스토리가 있는 가게가 대상이다. 선정되면 인증현판을 제공하고 사회 관계망 판촉과 홍보물 제작, 특별주간 행사 운영 등을 지원한다. 그뿐만 아니라 방문객들을 위한 체험관광 콘텐츠 개발과 서비스 교육, 홍보 등 맞춤형 자문을 지원할 예정이다. 김현광 대표이사는 “행궁동만의 정서와 매력을 담고 있는 가게를 발굴하여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추억의 저장소이자 행궁동 명소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유연석 기자 ]
김포, 인천·강화, 고양, 파주, 연천, 포천 등 7개 접경 지역 작가들의 조각 작품을 한자리서 만날 수 있는 야외 조각 전시가 열렸다. 김포문화재단은 애기봉 평화생태공원에서 야외 조각 전시 ‘선상의 바람’을 선보인다. 지난 26일부터 10월 말까지 진행되는 이번 전시는 애기봉 평화생태공원에서 준비한 2022년 두 번째 야외 조각전으로 민혜홍, 신달호, 이웅배, 임승오 등 작가 15명이 참여했다. 전시명 ‘선상의 바람’은 ‘동과 서’의 선상(線上)에서 유일하게 ‘남과 북’을 자유로이 오가는 바람(Wind, 風)에 모두의 바람(Wish, 望)을 실어 보낸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전시는 화요일부터 일요일(매주 월요일 휴관),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방문객 누구나 무료로 관람 가능하다. 또한, 애기봉 평화생태공원 1층 오픈 갤러리에선 ‘평화새 카드’에 소원을 적는 ‘애기봉씨에게 소원을 말해봐!’ 행사도 진행한다. 방문객이 작성한 소원 카드는 행사 종료 후 갤러리에 있는 ‘소원 나무’에 전시될 예정이다. 김포문화재단 애기봉사업팀 관계자는 “방문객들로 하여금 다채로운 관람, 의미 있는 시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이번 전시와 연계된 다양한 문화예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