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소지섭, 공명, 추영우, 안길강, 조한철, 이준혁이 6월 5일(목) 오후, 서울시 중구 장충동 앰버서더 서울 풀만 호텔에서 열린 넷플릭스 시리즈 ‘광장’ 제작발표회에 참석해 공통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한편 넷플릭스 시리즈 ‘광장’은 스스로 아킬레스건을 자르고 광장 세계를 떠났던 ‘기준’이, 조직의 2인자였던 동생 ‘기석’의 죽음으로 11년 만에 돌아와 복수를 위해 그 배후를 파헤치는 느와르 액션으로 6월 6일 오후 4시 공개된다. 본 영상은 경기신문 제휴사 뉴스인스타에서 제공한 기사입니다.
배우 소지섭, 공명, 추영우, 안길강, 조한철, 이준혁이 6월 5일(목) 오후, 서울시 중구 장충동 앰버서더 서울 풀만 호텔에서 열린 넷플릭스 시리즈 ‘광장’ 제작발표회에 참석해 포토타임을 갖고 있다. 한편 넷플릭스 시리즈 ‘광장’은 스스로 아킬레스건을 자르고 광장 세계를 떠났던 ‘기준’이, 조직의 2인자였던 동생 ‘기석’의 죽음으로 11년 만에 돌아와 복수를 위해 그 배후를 파헤치는 느와르 액션으로 6월 6일 오후 4시 공개된다. 본 영상은 경기신문 제휴사 뉴스인스타에서 제공한 기사입니다.
배우 소지섭, 공명이 5월 30일(금) 오후,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 KBS 본관에서 진행되는 KBS라디오 '이은지의 가요광장' 생방송에 출연하기 위해 방송국에 도착하고 있다. 한편 배우 소지섭, 공명이 출연한 NETFLIX 시리즈 '광장'은 스스로 아킬레스건을 자르고 광장 세계를 떠났던 ‘기준’이, 조직의 2인자였던 동생 ‘기석’의 죽음으로 11년 만에 돌아와 복수를 위해 그 배후를 파헤치는 느와르 액션으로 오는 6월 6일 넷플릭스에서 공개된다. 본 영상은 경기신문 제휴사 뉴스인스타에서 제공한 기사입니다.
‘전 세계 장애체육인들의 축제’인 제17회 파리 하계패럴림픽이 29일 파리 콩코르드 광장에서 열린 개회식을 시작으로 12일 간 열전에 들어갔다. <관련기사 11면> 이번 패럴림픽의 개회식은 ‘완전히 개방된 대회’(Games wide open)라는 주제로 패럴림픽의 상징인 아지토스로 단장한 개선문부터 샹젤리제 거리 일대에서 약 4시간 동안 펼쳐졌다. 1900년과 1924년, 2024년 등 3차례나 올림픽이 열린 프랑스 파리에서 패럴림픽이 열리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패럴림픽 개회식이 야외에서 펼쳐진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패럴림픽은 1960년에 시작했고, 올림픽과 패럴림픽이 같은 도시에서 열리기 시작한 건 1988년 서울 대회부터였다. 프랑스어 알파벳 순서에 따라 한국은 36번째로 입장했다. 개최국 프랑스 선수단은 대표적인 샹송인 ‘오 샹젤리제’의 선율에 맞춰 광장으로 들어왔다. 선수단 입장 후 개회식의 하이라이트인 성화가 점화됐다. 파리 올림픽 수영 동메달리스트인 플로랑 마노두의 손에 들려 입장한 성화는 2008 베이징 패럴림픽 휠체어 테니스 우승자인 미카엘 제레미아즈에게 건네졌고 이어 이탈리아 휠체어 펜싱 선수 베베 비오, 미국의 장애인 멀티종
광주시는 시청 앞 광장을 주차장, 공연장, 휴식 공간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오는 14일까지 ‘시청사 광장 조성사업’을 완료해 개방할 계획이라고 2일 밝혔다. 이에 따라 시청사 광장은 각종 공연(행사) 공간 및 시민들의 여가선용 공간으로 재탄생되고, 새로이 조성된 106면의 주차장을 통해 그동안 시청을 방문하는 시민들의 주차불편을 해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이미 지난 1일부터 시청 앞 광장 내 주차장을 임시 개방해 시민들의 주차불편이 조금이라도 완화될 수 있도록 조치한 바 있다. 신동헌 시장은 “시청사 광장 재조성을 통해 다양한 행사와 이벤트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시민들의 정서함양과 지역문화의 자긍심을 심어주는 너른 시민광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광주 = 박광만 기자 ]
“앞으로는 ‘범계역광장’으로 불러주세요.” 안양시는 지하철4호선 범계역 롯데백화점 앞 일대를 범계역광장이라고 정하고, 지난달 말 이를 알리는 ‘범계역광장’ 안내표지판을 설치했다고 1일 밝혔다. 안내표지판은 가로 5m 세로 1m 규격으로, ‘범계역광장’임을 상징하는 한글표식과 영문이 위아래로 장식돼 있다. 또 양면에서 볼 수 있는 구조로 눈에도 잘 띈다. 시 소유 부지인 범계역광장은 윗면과 하단부를 합쳐 총 면적이 4천893㎡에 이른다. 이곳은 지하철승객을 포함해 쉴 새 없이 사람들이 오가고, 만남의 장소로도 많은 찾는 지역이지만 명칭이 다양하게 불리어져 혼란이 있어왔다. 하지만 이번에 ‘볌계역광장’이라는 명칭이 확정되고 대형 안내표지판이 설치되면서 이같은 혼란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최대호 안양시장은 “‘범계역광장’은 안양의 여러 명소와 함께 상징적인 장소”라며, “시민들이 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잘 관리하겠다”고 전했다. [ 경기신문 = 장순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