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육상 남자 단거리 유망주’ 나마디 조엘진(18·김포과학기술고)이 남자고등부 100m 한국신기록을 갈아치웠다. 대한육상연맹은 지난 6일 홍콩에서 열린 2024 홍콩인터시티육상선수권대회 20세 미만 남자 100m 예선에서 나마디 조엘진이 10초35를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이 기록은 지난 해 8월 전국시도대항육상경기대회에서 자신이 세운 10초36을 0.01초 앞당긴 한국 고등부 신기록이다. 당시 2018년 6월 3일 후세 스프린트 대회에서 신민규가 작성한 10초38을 5년 2개월 만에 0.02초 앞당긴 나마디 조엘진은 11개월 만에 자신의 기록을 다시 앞당기며 ‘한국 남자 육상 단거리 유망주’임을 다시한번 입증했다. 나마디 조엘진은 이날 오후 늦게 열린 20세 미만 남자 100m 결선에서 10초44로 스쥔하오(중국·10초43)에 0.01초가 뒤져 은메달을 차지했다. 임시원(부산사대부설고)이 10초61로 3위에 올랐다. 아역 배우로 활동하며 TV에 등장하던 나마디 조엘진은 초등학교 5학년 때 육상에 입문한 뒤 “국가대표가 되겠다”고 진로를 정했다. 그의 100m 개인 최고 기록은 2021년 11초64, 2022년 10초66, 2023년 10초36으로 가파
과천시청이 제27회 나주 전국실업육상경기선수권대회 남자부 1600m 계주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시즌 3관왕에 등극했다. 과천시청은 15일 전남 나주시 나주종합스포츠파크 육상경기장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남자부 1600m 계주 결승에서 서재영, 김윤재, 김재덕, 최동백이 팀을 이뤄 3분13초21의 기록으로 충남 서천군청(3분14초12)과 포천시청(3분20초63)을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로써 과천시청은 지난 달 열린 제51회 KBS배 대회와 2023 예천 KTFL 전국실업육상경기대회 우승에 이어 시즌 3관왕에 올랐다. 또 여자부 100m 허들에서는 조은주(용인시청)가 13초757로 류나희(안산시청·13초759)와 송유진(경북 안동시청·14초55)을 제치고 정상에 오르며 시즌 세번째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올 시즌 대회 때마다 류나희와 우승을 다투고 있는 조은주는 이날 류나희를 0.002초의 근소한 차이로 따돌리며 3월 열린 익산 전국실업육상경기대회와 5월 KBS배 대회 우승에 이어 세번째로 시상대 맨 위에 섰다. 여자부 포환던지기에서는 정유선(안산시청)이 15m43을 던져 정소은(전남 목포시청·15m09)과 김유진(대전시청·14m60)을 꺾고 우승했고,
‘한국 여자 육상 단거리 기대주’ 이채현(경기체고)이 제50회 KBS배 전국육상경기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채현은 2일 경북 예천군 예천종합운동장에서 열린 대회 첫 날 여자고등부 100m 결승에서 12초05의 기록으로 최윤경(양주 덕계고·12초10)과 전하영(가평고·12초12)을 따돌리고 1위로 골인했다. 이채현의 이날 기록은 자신의 개인최고기록(12초19)을 0.14초 앞당긴 것이다. 이로써 이채현은 지난 달 열린 제51회 춘계 전국중·고등학교육상경기대회 여고부 100m 우승에 이어 2개 대회 연속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또 남고부 100m 결승에서는 이진서(수원 유신고)가 10초59의 기록으로 김시우(강원체고·10초61)와 나마디 조엘진(김포제일공고·10초66)을 제치고 우승을 차지했고, 남초부 포환던지기에서는 김성준(남양주 송라초)이 11m75로 팀 동료 이태주(10m41)와 서태원(충북 충주용산초·8m42)을 꺾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여일반 포환던지기에서는 정유선(안산시청)이 16m50으로 이수정(제주 서귀포시청·16m39)과 신봄이(성남시청·15m10)를 제치고 우승했고, 남초부 높이뛰기에서는 심우준(인천 석남초)이 1m50으로 조준영(서울
‘뉴 마린보이’ 황선우가 올림픽 남자 자유형 100m 결승에서 5위를 차지했다. 황선우는 29일 오전 11시 37분 일본 도쿄 아쿠아틱스 센터에서 펼쳐진 2020 도쿄올림픽 경영 남자 자유형 100m 결승에서 47초 82를 기록하며 5위에 올랐다. 황선우는 지난 1952년 헬싱키올림픽에서 일본의 스즈키 히로시가 딴 은메달 이후 69년 만에 올림픽 100m에서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전날 준결승에서 47초 56으로 아시아신기록과 한국신기록을 갱신하며 4위로, 대한민국 선수로는 처음 결승에 진출한 황선우는 6레인에서 물살을 가르며 첫 메달 획득에 도전했다. 하지만 5번째로 터치 패드를 찍으며 0.38 차이로 아쉽게 메달권 진입에는 실패했다. 황선우는 생애 첫 올림픽을 노메달로 그쳤지만, 100m와 200m에서 연일 신기록을 수립하며 전 세계에 자신의 이름을 알렸다. [ 경기신문 = 김도균 기자 ]
‘뉴 마린보이’ 황선우가 도쿄올림픽 자유형 100m 준결승에서 한국신기록과 아시아신기록을 경신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황선우는 28일 도쿄 아쿠아틱스 센터에서 열린 2020 도쿄올림픽 수영 남자 자유형 100m 준결승전에서 47초 56으로 1조 3위, 전체 4위로 결승에 올랐다. 이날 준결승에 진출한 16명 중 아시아선수는 황선우가 유일하다. 3레인에서 경기를 치른 황선우는 한국 선수로는 처음으로 올림픽 자유형 100m 결승에 진출해 대한민국 수영의 위상을 높혔다. 황선우가 준결승서 기록한 47초 56은 한국신기록이자 아시아신기록이다. 그는 하루 전 열린 남자 자유형 100m 예선에서 기록한 자신의 한국신기록 47초 97을 또 다시 단축한데 이어, 지난 2014년 10월 중국 닝저타오가 작성한 47초 65를 0.08초 단축해 아시아신기록에 새롭게 이름을 올렸다. ‘기록의 사나이’ 황선우는 지난 5월 국가대표 선발대회서 48초 04를 기록해 박태환이 세운 48초 25를 뛰어넘은 바 있다. [ 경기신문 = 김도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