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문학경기장이 매년 수십억원의 운영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나 별다른 대책이 없어 세금낭비가 계속되고 있다.
7일 인천시에 따르면 2002년 월드컵에 맞춰 문을 연 문학경기장은 2003년 21억원, 2004년 20억원, 2005년 25억원, 지난해 19억원 등 해마다 20억원 안팎의 적자를 보이고 있다.
이는 경기장 수입원이 입장료와 부대시설 임대수입 등에 한정돼 있어 연간 40억원에 달하는 시설 관리비와 각종 부담금, 인건비 등 고정비용을 부담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 때문이다.
시는 적자 해소를 위해 경기장 옥외 주차장 등 6천500여평의 부지에 대형할인점을 유치해 매년 30억원 가량의 임대수익을 올리는 방안을 2005년부터 추진했으나 주변 재래시장과 영세상인들의 반발로 표류하고 있다.
타 지역의 경우 월드컵 이후 경기장 활용 차원에서 대형할인점을 유치해 서울, 부산, 광주, 수원시 등이 20∼50년씩 유통업체측에 장기임대했다.
시는 문학경기장 내 주차장을 유료화해 수입을 올리는 방안도 검토했으나 경기 당일 교통혼잡이 우려되고 평일에는 주차수요가 거의 없어 인건비 등 기본 비용 충당도 어려운 것으로 판단해 백지화했다.
결국 시가 이렇다할 개선책을 내놓지 못하는 사이에 100억원에 육박하는 시민혈세가 문학경기장의 적자를 메우는 데 쓰였다.





































































































































































































